테크포럼은 ‘beyond technology’ 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모토로
국내/외 최신 기술 및 신성장 산업의 핵심 이슈와 동향을 분석하여 관련 업계 구성원들에게 정보와 소통의 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술 산업분야의 세미나, 컨퍼런스, 포럼을 기획/주최/주관 및 자료집/리포트 등을 제공 하고 있습니다.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문의: contact@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techforum.co.kr
2025 글로벌 제약·바이오의약 세부분야별 기술, 시장 동향과 사업화 전략
제조사: IRS Global
규격: 656쪽 (A4, 서적, PDF)
ISBN: 9791194532026
▶자세히보기
https://www.techforum.co.kr/shop_goods/goods_view.htm?category=01020500&goods_idx=30101
2025 글로벌 제약·바이오의약 세부분야별 기술, 시장 동향과 사업화 전략
[ 보고서 소개 ] 글로벌 제약 시장은 비만ㆍ당뇨병 치료제의 급성장과 면역항암제의 강세가 유지되면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약가 인하 정책과 미ㆍ중간 기술 패권을
www.techforum.co.kr
[ 보고서 소개 ]
글로벌 제약 시장은 비만ㆍ당뇨병 치료제의 급성장과 면역항암제의 강세가 유지되면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약가 인하 정책과 미ㆍ중간 기술 패권을 둘러싼 경쟁과 같은 이슈들은 제약 업계에 새로운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미국의 약가 인하 정책은 제네릭의약품과 바이오시밀러 수요 증가로 바이오시밀러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는 우리 기업들에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가격 압박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으며, 중국의 견제 정책과 아직 통과되지는 않은 미국의 생물보안법안 등도 국내 CDMO 기업들에겐 긍정적인 신호로 예측되면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등은 생산능력과 입지 능력을 강화하고 있고, 유한양행, 한미약품, 대웅제약 등 전통 제약사들까지도 CDMO 사업을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제약 시장은 Statista 자료에 따르면, 2025년에 전년대비 약 4.5% 성장세를 보이며 1조 2,070억 달러 규모까지 성장하고, 바이오의약품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2025년 5,710억 달러 규모까지 확대되어 전체 의약품 매출의 약 4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제약산업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바이오의약품’은 생물체에서 유래한 원료를 사용하기에 독성이 낮고, 부작용이 적으며, 희귀성ㆍ난치성 질환 등 특정 질병을 표적 치료하는데 효과적이기에 주목받고 있으며, 주로 종양학, 신경학, 대사질환 분야가 주요 연구 영역으로 성장하고 있다.
본격적인 인구 고령화 추세에 따라 치매나 당뇨, 암 등을 앓는 환자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특히 만성질환이 급증하면서 바이오 기술은 화학합성의약품의 한계를 벗어나 돌파구 역할을 하게 될 것이며, 또한 이를 동력으로 헬스케어 산업전반의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단백질이나 세포, 유전자 등을 이용해 만든 바이오의약품은 최근 재료 확보의 어려움, 높은 비용 등의 문제가 해결되면서 각종 질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존 화학합성의약품으로 치료가 힘들거나 결과가 좋지 않은 질병들에 있어 바이오의약품으로 대체하는 등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현재 바이오의약품으로 많이 치료되는 질병은 당뇨병, 류머티즘성 관절염, 크론병, 암 등의 난치성 또는 만성질환 등의 난치성 질환들이 주를 이룬다.
우리 정부의 제약ㆍ바이오의약품 산업에 대한 육성 기조도 분명해 보인다. 이미 2023년 3월에 바이오헬스 글로벌 중심국가 도약을 위한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ㆍ지원 5개년 종합계획”을 발표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출범으로 컨트롤타워도 확립, 바이오에 대한 국가첨단전략산업 지정도 완료된 상태이다.
국내 제약ㆍ바이오의약품 산업 관련 정책은 공급망 회복력 강화보다 산업육성 및 수출지원 중심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IRS글로벌에서는 제약ㆍ바이오의약품 산업의 기술개발 및 시장 동향뿐만 아니라, 각 유망한 세부분야별 글로벌 연구개발과 특허 동향까지 종합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본서를 출판하게 되었으며, 모쪼록 본 보고서가 해당 분야의 연구개발 및 사업을 진행하는 기관 및 기업의 관계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 목차 ]
Ⅰ. 국내외 제약ㆍ바이오의약품 시장전망과 정책 추진동향
1. 바이오의약 기술 개요
1-1. 바이오의약 산업 동향
1) 바이오산업(Bioindustry) 개요
2) 고령화 심화로 바이오 기술 부상
3)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바이오의약품
1-2. 바이오의약품 기술 개요
1) 개념
(1) 바이오 테크놀로지
(2) 바이오의약품
2) 바이오의약품 중요성
(1) 바이오의약품과 암
(2) 바이오의약품과 자가면역질환
3) 바이오의약품의 개발 이력
4) 바이오의약품과 합성의약품의 차이
(1) 합성의약품
① 시장 동향
② 제조 과정
(2) 바이오의약품
① 시장 동향
② 제조 과정
5) 분류별 특징과 이슈
(1) 바이오의약품
① 단백질의약품(Protein Therapy, 1세대 바이오의약품)
② 항체의약품(Monoclonal Antibody, 2세대 바이오의약품)
③ 세포치료제(Cell Therapy)
④ 유전자 치료제(Gene Therapy)
(2) 바이오시밀러ㆍ베터
① 바이오시밀러
② 바이오베터
6) 바이오의약품 프로세스
1-3. 의약품 산업의 변화
1) 바이오의약품 CMO(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2) 바이오의약품 CRO(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3) 바이오의약품 CSO(Contract Sales Organization)
2. 국내외 제약ㆍ바이오의약 시장 동향 및 전망
2-1. 글로벌 의약품 시장 동향과 전망
1) 세계 의약품 시장규모
2) 의약품 매출 TOP 20
(1) 1위 휴미라 373.59억 달러
(2) 마운자로 : TOP 10 진입
(3) 제품 매출에서는 애브비가 3년 만에 1위
3) 주요 분야별 동향 및 과제
(1) 종양 치료제
(2) 만성질환 치료제
(3) 백신
(4) 특수 제품
4) 제약 업계의 새로운 트렌드
(1) Pharma 4.0 혁명
(2) 개별화 의료
(3) 지속 가능성에 대한 시책
(4) 인공지능(AI)의 통합
5) 제약 업계가 직면한 과제
(1) 인플레이션과 운용 비용 증가
(2) 규제당국의 감시와 약값에 대한 압력
(3) 특허 유효기간과 경쟁
(4) 공급망의 혼란
(5) 진화하는 시장
(6) 비즈니스에 대한 기대
2-2. 국내 의약품 시장 동향과 전망
1) 시장규모 및 생산실적
2) 주요 이슈별 동향
(1) 생산실적 최고, 수입 하락
(2) 원료의약품ㆍ일반의약품 생산실적
(3) 백신 상위권에서 이탈
(4) 바이오의약품의 고른 성장세
(5) 방역물품 외 의약외품 성장
3. 바이오 의약품 시장 동향 및 전망
3-1. 글로벌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 동향과 전망
(1) 치료 분야별 시장
(2) 모달리티 및 임상단계별 파이프라인 현황
(3) 모달리티별 시장규모 전망
2)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CDMO(Bio-CDMO) 시장 동향과 전망
(1) 제품 유형별 시장
(2) 세포배양 유형별 시장
(3) 지역별 매출 현황 및 전망
(4) 모달리티별 시장
(5) 글로벌 CDMO 기업 점유율
3-2. 주요국별 바이오 의약품 산업현황과 시장동향
1) 미국
2) 독일
3) 프랑스
4) 이탈리아
5) 영국
6) 스페인
3-3. 유망 분야별 기술 및 시장 동향과 전망
1) 유전자ㆍ세포 치료제
(1) 기술 개요
① 개념
② 분류
(2) 국내외 시장 동향과 전망
(3) 국내외 주요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② 국내
2) 감염병 백신ㆍ치료제
(1) 기술 개요
① 개념
② 분류
(2) 국내외 시장 동향과 전망
(3) 국내외 주요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② 국내
3)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1) 기술 개요
① 개념
② 구조 및 작용 기전
③ 구조적 특징
(2) 국내외 시장 동향과 전망
(3) 국내외 주요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② 국내
3-4.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규모와 산업 동향
1) 시장 규모
2) 생산 실적
(1) 바이오의약품 연도별 생산실적
(2) 바이오의약품 제제별 생산실적
3) 생산ㆍ수입실적 상위 업체 현황
(1) 바이오의약품 생산실적 상위 10개 업체
(2) 바이오의약품 수입실적 상위 10개 업체
4) 생산ㆍ수입실적 상위 품목 현황
(1) 바이오의약품 생산실적 상위 10개 품목
(2) 바이오의약품 수입실적 상위 10개 품목
5) 연도별 수출ㆍ수입실적 현황
(1) 바이오의약품 연도별 수출ㆍ수입실적
(2) 바이오의약품 제제별 수출실적
(3) 바이오의약품 제제별 수입실적
(4) 바이오의약품 국가별 수출실적(상위 10개국)
(5) 바이오의약품 국가별 수입실적(상위 10개국)
(6) 제제별 수출입국 순위
6) 바이오의약품 임상시험 승인 현황
7) 바이오의약품 허가 현황
4. 주요국별 제약ㆍ바이오의약품 관련 정책 추진 동향
4-1. 해외 주요국별 바이오 의약품 관련 정책 추진 동향
1) 미국
(1)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
(2) 의약품 및 원료의약품 공급망 리스크 점검
(3)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4) 對중국 투자 심사 강화
(5) 중요한 데이터 이전 규제
2) 유럽(EU)
(1) 공급망 안정화 관련 장단기 조치
(2)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 정책
3) 중국
(1) 의약품 육성 : 해외 시장 진출 확대
(2) 고부가가치 원료 의약품의 산업 육성
(3) 바이오기술 분야의 구체적인 목표와 지원책 제시
(4) 해외투자 장려 및 기업유치를 확대
4) 일본
(1) 부진한 바이오 부문 육성
(2) 바이오 경제전략 실행계획
(3) 신약개발력 구상 회의
(4) 바이오 기술을 경제안보 관련 기술에 추가
4-2. 국내 주요국별 바이오 의약품 관련 정책 추진 동향
1) 제약바이오산업 육성ㆍ지원 5개년 종합계획
2)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
3) 바이오헬스 산업 수출 활성화 전략 방안
4) 바이오경제 2.0 추진 방향
Ⅱ. 국내외 제약ㆍ바이오의약 연구개발 동향 및 향후 과제
1. 신약개발을 위한 유망 영역별 연구개발 동향 및 향후 과제
1-1. AI 신약개발
1) 기술 개요
2) 주요 연구개발 동향 및 이슈
3) 신기술 개발 및 기술 토픽
(1) 심층학습을 통한 단백질 입체 구조 예측
(2) 의약품의 표적이 되는 질환 원인 분자(주로 단백질) 탐색 기술
(3) 텐서 분해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예측
(4) 의약품 후보 화합물의 구조 생성
(5) 의약품 후보 화합물의 구조 최적화
4) 주목할 만한 주요 프로젝트
(1) Machine Learning for Pharmaceutical Discovery and Synthesis(MLPDS) Consortium
(2) Machine Learning Ledger Orchestration for Drug Discovery(MELLODDY) project
(3) Life Intelligence Consortium (LINC)
(4) 민관 연구개발 투자 확대 프로그램(PRISM) : 신약 창출을 가속화하는 인공지능 개발
(5) K-멜로디(MELLODDY) 프로젝트
5) 향후 핵심기술 과제
(1) 의약품의 표적이 되는 질병 원인 분자(주로 단백질) 탐색 기술
(2) 의약품 후보 분자의 활성 및 각종 파라미터를 예측하는 기술
6) 주요국별 연구개발 현황 비교
(1) 미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2) 유럽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3) 중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4) 일본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5) 한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6) 대만
1-2. 고분자(항체) 신약개발
1) 기술 개요
2) 주요 연구개발 동향 및 이슈
(1) 항체공학 기술의 발전
(2) 항체 제조 기술의 발전
3) 신기술 개발 및 기술 토픽
(1) 항체공학 기술의 발전
① 차세대 항체
② 항체약물접합체(ADC)
③ 저분자화 항체, VHH
(2) 항체 제조 기술의 발전
① 타겟 인테그레이션 기술
② Alternating Tangential Flow(ATF) 기술
③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공장
4) 향후 핵심기술 과제
(1) 데이터베이스 고도화와 in silico 해석
(2) single cell assay 기술에 의한 single cell에서의 HTTP screening
(3) 생산 기주의 확대
(4) 그 밖의 기술 개발 항목
5) 주요국별 연구개발 현황 비교
(1) 미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2) 유럽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3) 중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4) 일본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5) 한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1-3. 중ㆍ저분자 신약개발
1) 기술 개요
(1) 정의
(2) 개발 의의
(3) 저분자 의약품
(4) 중분자 의약품
2) 주요 연구개발 동향 및 이슈
(1) 저분자 의약품
① 표적 단백질 분해
② 커버런트 드러그
(2) 중분자 의약품
① mRNA 이외의 핵산 의약품ㆍ핵산 표적 의약품
② mRNA 의약품
③ 핵의학 치료제
3) 신기술 개발 및 기술 토픽
(1) DNA 코드화 라이브러리(DNA-encoded Library: DEL)
(2) 유전자 편집 기술에 의한 천연물 구조 변환 기술
(3) 입체구조 규제 펩타이드 라이브러리
(4) PROTAC 신약개발
(5) 리소좀 분해를 유도하는 AUtophagy – TARgeting Chimera(AUTAC) 등
(6) 5가 인 원자를 이용한 올리고핵산 합성
(7) 핵산 의약품에 의한 스플라이스 제어/mRNA 발현 상승
(8) 각종 콘주게이트 기술 등
(9) 기능성 mRNA
(10) RNA 편집
(11) 암 백신
(12) 1인 환자를 위한 의약품 개발: Milasen
4) 향후 핵심기술 과제
(1) 안전성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ㆍ기술개발
(2) 딜리버리 기술
(3) 핵산 의약품 제조 기술
(4) mRNA 제조 기술
(5) DNA, RNA결합성 분자의 학술적 이해 부족
(6) α선 핵의학 치료(Targetedα-particle therapy: TAT)
5) 주요국별 연구개발 현황 비교
(1) 미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2) 유럽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3) 중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4) 일본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5) 한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1-4. 바이오마커 및 액체생검
1) 기술 개요
2) 주요 연구개발 동향 및 이슈
(1) CTC
(2) cfDNA, ctDNA
(3) miRNA, 엑소좀
3) 신기술 개발 및 기술 토픽
(1) 암 영역
(2) 암 이외로의 액체생검 전개
(3) 프로테옴 해석
(4) 메타볼롬 해석
(5) 의료용 영상을 이용한 바이오마커 탐색
4) 향후 핵심기술 과제
5) 주요국별 연구개발 현황 비교
(1) 미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2) 유럽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3) 중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4) 일본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5) 한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2. 바이오의약 유망 영역별 연구개발 동향 및 향후 과제
2-1. 유전자 치료(in vivo/ex vivo 유전자 치료)
1) 기술 개요
2) 주요 연구개발 동향 및 이슈
3) 신기술 개발 및 기술 토픽
4) 향후 핵심기술 과제
5) 주요국별 연구개발 현황 비교
(1) 미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2) 유럽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3) 중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4) 일본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5) 한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2-2. 줄기세포치료(재생의료)
1) 기술 개요
(1) 정의
(2) 개발 의의
(3) 줄기세포 이식(재생의료)에 관한 연구개발 이력
2) 주요 연구개발 동향 및 이슈
(1) 중간엽줄기세포(MSC) 세포이식치료
(2) 배아줄기세포 기반 세포이식치료
(3) iPS 세포 기반 세포이식 치료
(4) 직접교차분화
(5) 자기 회복 기구의 활성화를 통한 조직ㆍ장기회복
(6)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
3) 신기술 개발 및 기술 토픽
(1) 직접교차분화
(2) 엑소좀/EV
(3) 고도로 초기화된 인간 다능성 줄기세포의 수립
(4) 이종 키메라를 이용한 장기재생법
(5) 3D 바이오프린팅
(6) 인간 세포 가공품 제조의 Quality by Design(QbD)
(7) 환자 유래 iPS 세포의 신약개발 이용
4) 향후 핵심기술 과제
5) 주요국별 연구개발 현황 비교
(1) 미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2) 유럽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3) 중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4) 일본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5) 한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2-3. 유전체(genome) 의료
1) 기술 개요
2) 주요 연구개발 동향 및 이슈
3) 신기술 개발 및 기술 토픽
(1) 클라우드 컴퓨팅
(2) 롱 리드 시퀀스 분석
(3) 게놈 시퀀스 시장의 변화
(4) 액상 생검(Liquid Biopsy)
(5) 약물유전체학(Pharmacogenomics)
(6) "N–of–1" study
(7) 인간 염색체 완전 시퀀스 발표
4) 향후 핵심기술 과제
(1) 고형암 이외의 암종에 대한 게놈 의료
(2) Cancer immunogenomics
(3) 체세포 모자이크 변이에 의한 희귀질환
(4) 심층학습ㆍ기계학습(인공지능)
(5) 개별 환자의 정확한 약효 판단 Phase 0 Drug screening system 개발
(6) 멀티 오믹스 분석
5) 주요국별 연구개발 현황 비교
(1) 미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2) 유럽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3) 중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4) 일본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5) 한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2-4. 유전체(genome) 편집ㆍ에피유전체 편집
1) 개요
2) 주요 연구개발 동향 및 이슈
3) 신기술 개발 및 기술 토픽
(1) 게놈 편집 도구의 신규 개발
(2) DSB를 사용하지 않는 게놈 편집 기술(염기 편집과 프라임 편집)
(3) 에피게놈 편집
(4) RNA 편집
(5) RNA 편집 활성과 프로테아제 활성을 가진 새로운 CRISPR
(6) CRISPR 진단(핵산 검출 기술)
(7) 게놈 편집에 의한 유전자 치료
4) 향후 핵심기술 과제
5) 주요국별 연구개발 현황 비교
(1) 미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2) 유럽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3) 중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4) 일본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5) 한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2-5. 세포외 미립자ㆍ세포외소포
1) 기술 개요
(1) 정의
(2) 개발 의의
(3) 외인성 미립자
(4) 내인성 미립자(EVs, 엑소좀)
(5) 내인성 미립자(MVs)
2) 주요 연구개발 동향 및 이슈
(1) 외인성 미립자
(2) 내인성 미립자(EVs, 엑소좀)
(3) 내인성 미립자(MVs)
3) 신기술 개발 및 기술 토픽
(1) 외인성 미립자(PM2.5 등)
(2) 내인성 미립자(EVs, 엑소좀)
(3) 내인성 미립자(MVs)
4) 향후 핵심기술 과제
(1) 외인성 미립자(M2.5 등)
(2) 내인성 미립자(EVs, 엑소좀)
(3) 내인성 미립자(MVs)
5) 주요국별 연구개발 현황 비교
(1) 미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2) 유럽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3) 중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4) 일본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5) 한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3. 바이오 재료, 센서 영역별 연구개발 동향 및 향후 과제
3-1. 인공 생체 조직ㆍ기능성 바이오 재료
1) 기술 개요
2) 주요 연구개발 동향 및 이슈
3) 신기술 개발 및 기술 토픽
(1) 면역 관용 머티리얼
(2) 웨어러블ㆍ소형 체외 디바이스
(3) 메카노바이올로지와 바이오 재료
(4) 머테리오바이올로지(Materiobiology)
(5) 3D 패브리케이션 기술의 고도화
(6) 암 조직 모델
(7) Hybrid Living Materials
4) 주목할 만한 주요 프로젝트
5) 향후 핵심기술 과제
6) 주요국별 연구개발 현황 비교
(1) 미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2) 유럽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3) 일본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4) 중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5) 한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3-2. 바이오 센싱
1) 기술 개요
2) 주요 연구개발 동향 및 이슈
3) 신기술 개발 및 기술 토픽
(1) 1분자 펩타이드/단백질 시퀀서
(2) 집적 나노포어 구조를 응용하는 새로운 1분자 계측 기술
(3) 세포ㆍ조직의 역학적 특성을 평가/이용하는 디바이스
(4) 생체 소자(항체, 효소, 세포 등)를 이용하는 센싱
(5) 3차원-마이크로 유체 페이퍼 기반 분석 장치
(6) 신경 센싱
(7) 웨어러블 식물 센서
4) 주목할 만한 국내외 프로젝트
5) 향후 핵심기술 과제
6) 주요국별 연구개발 현황 비교
(1) 미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2) 유럽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3) 중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4) 일본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5) 한국
① 기초 연구
② 응용 연구ㆍ개발
Ⅲ. 바이오의약 주요 분야별 글로벌 특허 동향 분석
1. 백신 특허 동향 분석
1-1. 분석절차
1-2. 연도별 특허 동향
1-3. 국가별 출원 동향
1-4. 기업별 출원 동향
1-5. 인용 상위 특허
1) Inhalable vaccine compositions and methods
2) Expression of SARS-CoV-2 spike protein receptor binding domain in attenuated Salmonella as a vaccine
1-6. 주요 단어 및 네트워크 분석
1-7. 주제 분석
1-8. 평균 인용 수
1-9. 주제별 전망
2. 항체치료제 특허 동향 분석
2-1. 분석절차
2-2. 연도별 특허 동향
2-3. 국가별 출원 동향
2-4. 기업별 출원 동향
2-5. 인용 상위 특허
1) Antibody composition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umor
2) Enhancement of antibody-cytokine fusion protein mediated immune responses by combined treatment with immunocytokine uptake enhancing agents
2-6. 주요 단어 및 네트워크 분석
2-7. 주제 분석
2-8. 평균 인용 수
2-9. 주제별 전망
3. 유전자치료제 특허 동향 분석
3-1. 분석절차
3-2. 연도별 특허 동향
3-3. 국가별 출원 동향
3-4. 기업별 출원 동향
3-5. 인용 상위 특허
1) Fabry disease gene therapy
2) Adeno-associated viral vectors for gene therapy
3-6. 주요 단어 및 네트워크 분석
3-7. 주제 분석
3-8. 평균 인용 수
3-9. 주제별 전망
4. 세포치료제 특허 동향 분석
4-1. 분석절차
4-2. 연도별 특허 동향
4-3. 국가별 출원 동향
4-4. 기업별 출원 동향
4-5. 인용 상위 특허
1) Cell therapy processes utilizing acoustophoresis
2)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ART cell therapy
4-6. 주요 단어 및 네트워크 분석
4-7. 주제 분석
4-8. 평균 인용 수
4-9. 주제별 전망
Ⅳ. 국내외 주요 업체별 개발동향과 사업화 전략
1. 해외 주요 업체별 실적 및 동향 분석
1-1. 매출실적 TOP 24
1) 로슈 : 8.2%가 감소했지만 1위 탈환
2) 노보(Novo Nordisk) : 높은 실적으로 12위 부상
3) 연구개발 비용이 100억 달러 이상 기업은 6개
1-2. 매출 및 영업이익 분석
1) 최고 매출은 로슈
2) 매출 성장률이 가장 큰 ‘노보(Novo)’
3) 이익률도 노보가 1위
1-3. 연구개발비 분석
1) 연구개발비 규모가 가장 큰 ‘머크(Merck)’
2) 20개사 중 11개사가 20% 이상의 연구개발 투자
1-4. 주력제품별 매출 실적 분석
1) 화이자 : 코로나 백신 70% 감소
2) 사노피 듀피센트 100억 달러 돌파
3) 노보 위고비 400% 증가
4) BI 자디앙의 호황
5) 바이오젠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가 감소
6) 노보 세마글루티드 3품목으로 매출의 60%
1-5. 질환 영역ㆍ사업별 매출 실적 분석
1) 화이자 : 프라이머리 영역의 매출 급감
2) 아스트라제네카 및 노바티스 : 주요 영역 호황
3) 당뇨병 영역이 성장하는 노보와 릴리
4) 길리어드 : 암 영역의 구성비 향상
5) 암ㆍ면역ㆍ신경에 주력하는 기업들
1-6. 지역별 매출 실적 분석
1) 머크와 아스트라제네카 : 중국에서 매출의 13%
2) 노보 : 미국 매출이 1.5배로
2. 국내 바이오의약품 TOP 10 기업별 사업 현황과 전략
2-1. 셀트리온(Celltrion Inc.)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및 제품
① 바이오시밀러 제품
② 신약 개발
③ 코로나19 치료제
④ 케미컬의약품
(3) 생산 시설
① 인천 송도 생산 공장
② 신규 설비 증설
2) 사업 현황
(1)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앱토즈마주' 국내 허가 획득
(2) 짐펜트라 글로벌 3상서 증량 투여 효능 확인
(3) 옴리클로 등 바이오시밀러 3종 국내 판매 개시
2-2. 녹십자(GC Biopharma corporate)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경영 성과
(3) 주요 사업 및 제품
① 혈액제제
② 백신제제
③ 유전자 재조합제제
2) 사업 현황
(1) '지씨 플루' 2년 연속 태국 독감백신 수주
(2) 산필리포증후군 치료제 국내 1상 IND 승인
(3) '알리글로(ALYGLO)' 美 FDA 허가 획득
2-3. LG화학(LG Chem Ltd.)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경영 성과
(3) 주요 사업부문 및 성과
① 석유화학 사업부문
② 첨단소재 사업부문
③ 생명과학 사업부문
④ LG에너지솔루션
2) 사업 현황
(1) CAR-T 및 신규 항체신약 기반 면역항암제 글로벌 임상 돌입
(2) 희귀비만증 치료 신약 美 리듬파마슈티컬스에 기술 수출
(3) 美 항암신약 기업 '아베오' 인수
2-4. 이수앱지스(ISU Abxis)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3) 생산 및 원재료
(4) 주요 계약 및 연구개발 활동
2) 사업 현황
(1) 희귀질환 치료제 ISU305 러시아 임상 3상 진행 중
(2) '바레세타맙' 1000억 원대 기술 이전
2-5. 동아에스티(Dong-A St Co., Ltd.)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제품
① 자사 개발 신약
② 바이오의약품
③ 기타 전문의약품
(3) 연구개발 활동
2) 사업 현황
(1) 바이오시밀러 첫 미국 진출
(2) 비만치료제‘DA-1726’1상에서 안전성 확인
(3) 면역항암제 'DA-4505' 임상 1/2a상 IND 승인
2-6. 대웅제약(Daewoong Pharmaceutical Co.,Ltd.)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제품
① 대표 제품
② 글로벌 제품 성장
(3) 연구개발 활동
① 주요 연구 영역
② R&D 투자 전략
2) 사업 현황
(1) 중증 간 섬유증‘경구용 신약’세계 최초 개발 추진
(2) 글로벌 첫‘폐섬유증 신약’개발 : IDMC로부터 안전성 입증
(3) 나보타(NUCEIVA) : 5개 대륙 진출 완료
2-7. SK플라즈마(SK plasma)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① 혈액제제
② 대표 제품: 알부민
(3) 연구개발 및 투자 활동
① NRDO 전략
② 바이오기술 투자
③ 파이프라인 확장
2) 사업 현황
(1) 한국얀센 혈액암 치료제 '벨케이드' 독점 판매
(2) '레볼레이드' 모든 특허회피 성공
2-8. SK바이오사이언스(SK Bioscience)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및 성과
① 자체 백신 포트폴리오
② 글로벌 협력 및 기술 수출
③ COVID-19 팬데믹 대응 성과
(3) 연구개발 및 기술 혁신
① 백신 연구개발 강화
② mRNA 플랫폼 개발
③ 글로벌 제조 역량 강화
2) 사업 현황
(1) 사노피와 차세대 폐렴구균 백신 공동 개발 확장 계약 체결
(2) SK바이오사이언스 mRNA 백신, 글로벌 임상 계획 승인
(3)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 인도네시아 품목허가 획득
2-9. 휴젤(Hugel Inc.)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및 제품
① 보툴리눔 톡신 ‘보툴렉스’
② 히알루론산(HA) 필러 ‘더채움’
③ 피부 전문 화장품 ‘웰라쥬 & 바이리즌’
④ 리프팅실
⑤ 국소지방분해제 신약
(3) 연구개발 및 경쟁력
① 연구개발 역량
② 핵심 경쟁력
2) 사업 현황
(1) 보툴리눔 톡신 제제 '레티보' 美 FDA 품목허가 획득
(2) 히알루론산 필러 '레볼렉스' 태국 출시
2-10. 메디톡스(Medy-Tox)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성과 및 제품
① 주요 성과
② 주요 제품
(3) 기술력 및 생산 역량
① 기술 경쟁력
② 생산 인프라
2) 사업 현황
(1) 히알루론산 필러‘아띠에르’2종 태국 품목허가 획득
(2) 국내 유일 비동물성 보툴리눔 톡신 제제로 미래 시장 선도
(3) 중증근무력증 치료제‘MT122’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
3. 국내 바이오의약품 주요 기업별 사업 현황과 전략
3-1.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CDMO 부문
① 생산 인프라
② CDO 서비스 및 기술력
③ 시장 전망 및 전략
(3)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상업화 부문
① 주요 제품
② 사업 확장 및 비전
(4) 성장 전략과 미래 비전
2) 사업 현황
(1) 2조원 CMO 수주
(2) 美 BPI서 CDO 신규플랫폼 공개
(3) 바이오시밀러 개발·상업화 주력
3-2. 유한양행(Yuhan Corporation)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부문 및 제품
(3) 2024년 주요 성과
① 렉라자 성과
② 경영 성과
2) 사업 내용
(1) 2개社와 'AI 항암 신약' 공동연구 협력계약
(2) 국산 항암신약 유한양행의 '렉라자' FDA 승인
(3) 바이오벤처 항암신약 도입
3-3. 종근당(Chong Kun Dang Pharmaceutical)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및 성과
① 주요 성과
② 주요 제품 및 성장 기여
(3) 연구개발 및 글로벌 전략
2) 사업 현황
(1) 큐리진과 유전자치료제 도입 계약 체결
(2) 노바티스와 글로벌 기술수출 계약
(3) 바이오의약품 개발에 집중
3-4. 광동제약(Kwang Dong Pharmaceutical)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및 매출 현황
(3) 생산 및 운영 시설
2) 사업 현황
(1) 희귀의약품 4종 추가 도입
(2) 신약개발 등을 통해 전문의약품 사업 강화
3-5.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 Co., Ltd.)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부문
① 의약품 부문
② 원료의약품 부문
③ 해외의약품 부문
(3) 주요 성과 및 연구개발(R&D)
2) 사업 현황
(1) 비만신약 ‘에페’ 출시 추진
(2) ESGCT서‘mRNA 항암신약’연구성과 주목
(3) '포스트 로수젯' 준비 : 차세대 개량·복합신약 개발중
3-6. 보령(Boryung Coporation)
1) 회사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전략
① 자가제품력 강화
② 안정적 포트폴리오 구축
(3) 일반의약품(OTC) 사업
2) 사업 현황
(1) 바이오시밀러 도입 항암제 시장지배력 강화
(2) 항암신약물질‘BR101801’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
3-7. HK이노엔(HK inno.N Corp.)
1) 회사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부문 및 성과
① 전문의약품 사업(ETC)
② H&B(Health & Beauty) 사업
(3) 연구개발(R&D)
2) 사업 현황
(1) 국산 비만치료제 식약처 3상 IND 신청
(2) HK이노엔의 도약은 자체 개발 소화성궤양용제 케이캡
3-8. JW중외제약(JW Pharmaceutical Corporation)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및 경쟁력
(3) 혁신적인 신약 개발
2) 사업 현황
(1) 헴리브라 투약환자 중증도 검사 상용화
(2) 자체 구축한 인공지능 플랫폼으로 신약 후보 10여개 발굴
(3) 미국 템퍼스AI와 임상 데이터·오가노이드 활용 항암 신약 개발 협력
3-9. 동국제약(Dongkook Pharmaceutical Co., Ltd.)
1) 회사개요
(1) 기업 프로필
(2) 사업 부문 및 주요 제품
① 일반의약품(OTC)
② 전문의약품(ETC)
③ 헬스케어 사업
(3) 연구개발(R&D)
2) 사업 현황
(1) 약효 2~3개월 지속 비만치료제 본격 개발
(2) 천연물 소재 기반 혁신 의약품 개발 역량 강화
(3) 인슐린 바이오시밀러‘글라지아’국내 판매
3-10. 제일약품(Jeil-Pharm)
1) 회사 개요
2) 사업 현황
(1) P-CAB 신약 '자큐보' 출시
(2) 항암제‘티에스원’PMS 기간 2년 연장
(3) 말레이시아 국립의대와 의약품 공급 및 R&D 협력
3-11. 일동제약
1) 회사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성과
① 매출 및 생산 현황
② 연구개발(R&D) 투자
(3) 연구개발 활동
① 연구개발 조직 및 인력
② 연구개발 주요 성과 및 진행 현황
③ 향후 계획
2) 사업 현황
(1) '바이오 유럽'에서 신약 파이프라인 홍보
(2) 대사질환 치료 신약 1상 IND 승인
(3) 자회사 유노비아 : 신약개발 및 글로벌 시장 진출
3-12. 휴온스(Huons Co., Ltd.)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휴온스 주요 사업 부문
① 전문의약품 사업
② 뷰티ㆍ웰빙 사업
③ 수탁(CMO) 사업
④ 신성장동력 및 오픈이노베이션
(3) 기술력 및 글로벌 경쟁력
2) 사업 현황
(1) 보툴리눔톡신 : 中상업화 시기 2025년 12월로 연기
(2) 휴온스 바이오의약품 CDMO 사업 진출
(3) 비만·당뇨치료 펩타이드 경구제 개발 탄력 : 산자부 국책과제 선정
3-13. 파마리서치바이오(PHARMA RESEARCH BIO Co., Ltd.)
1) 회사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3) 보툴리눔 독소 의약품의 특성과 규제
2) 사업 현황
(1) 보툴리눔톡신 정제기술 국내 특허 등록
(2) 'PN 칼슘 필러' 조성물 특허 획득
(3) '리엔톡주 100단위’국내 품목허가
3-14. 알테오젠(Alteogen Inc.)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부문
① 플랫폼 기술
② 바이오시밀러
③ 히알루로니다제 기반 기술 (Hybrozyme™)
④ 차세대 항암항체 치료제(ADC)
⑤ 성장호르몬 제품(hGH-NexP™)
(3) 주요 제품별 시장 현황 및 전망
2) 사업 현황
(1) JP모건서 'SC 기술'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추진
(2) 알테오젠‘키트루다 SC’상용화 목전
(3) 히알루로니다제 'ALT-B4' 물질특허 美 등록 결정
(4) 산도즈와 새로운 히알루로니다제 공동개발
3-15. 제테마(Jetema Co. Ltd.)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및 제품
① 히알루론산 필러
② 보툴리눔 독소 기반 바이오 의약품
(3) 글로벌 시장 진출 및 성과
2) 사업 현황
(1) 균주 문제없는 보톡스 출시 예정
(2) 국내 최초 라이센싱 균주 톡신‘제테마더톡신주’국내 허가 획득
(3) 유럽‘Teoxane’프리미엄 필러 판매
3-16. 안트로젠(Anterogen Co. Ltd.)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기술 및 제품
① 큐피스템 (Crohn’s Fistula 치료제)
② 당뇨병성 족부궤양 치료제 (ALLO-ASC-DFU)
③ 수포성 표피박리증 치료제 (ALLO-ASC-EB)
④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 (ANT-301)
⑤ 대상포진 치료제 (ANT-501)
(3) 주요 파이프라인
2) 사업 현황
(1) 웅선의원과 '지방줄기세포' 추출 기술 업무협약
(2) 폐고혈압의 유일한 치료옵션 '안트로젠 타이바소 흡입액'
(3) 대상포진치료제 미국 특허 등록
3-17. 파미셀(Pharmicell Co., Ltd.)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부문
① 바이오메디컬 사업부
② 바이오케미컬 사업부
(3) 연구개발 현황 및 성과
2) 사업 현황
(1) '동종 줄기세포치료제' 임상 1상서 안전성 입증
(2) 차세대 '줄기세포 치료제' 상용화
3-18. 메디포스트(MEDIPOST Co., Ltd.)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부문
① 제대혈은행 사업
② 줄기세포치료제 사업
③ 건강기능식품 사업
(3) 연구개발 현황 및 파이프라인
① 연구개발 현황
② 주요 파이프라인
③ 연구개발 전략 및 전망
2) 사업 현황
(1) 골관절염치료제 일본에서 3상 진행
(2) 보관제대혈 활용 가능성 확대
(3) 국내 CDMO 2건 수주
3-19. 제넥신(Genexine, Inc.)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영역
① 차세대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신약
② 유전자 치료제 신약
③ bioPROTAC 신약
④ 신규 파이프라인 개발
(3) 기술 특징 및 차별성
① hyFc 플랫폼 기술
② DNA 백신 제조 기술
③ bioPROTAC 기술
2) 사업 현황
(1) 주 1회 투여 성장호르몬제‘GX-H9’中허가 신청
(2) '바이오프로탁' 플랫폼
(3) 국제컨퍼런스서 폐암·아토피 후보물질 임상 발표
3-20. 코아스템켐온(Corestemchemon Inc. / 舊, 코아스템㈜)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및 기술
①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② 차세대 줄기세포 치료제 연구
③ 희귀의약품 및 글로벌 시장 진출
(3) 연구개발 현황 및 파이프라인
① 뉴로나타-R
② CE211A115
③ CE211NS21
④ CE223BR17
⑤ EV231NJ20
2) 사업 현황
(1) '뉴로나타 알' 임상 3상 분석에서 바이오마커 움직임 확인
(2) 한국화학연구원과 오가노이드 기술이전 협약
3-21. 지씨셀(GC Cell Corp.)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영역
① 세포치료제 사업
② 검체검사서비스 사업
③ 제대혈은행 사업
④ 바이오물류 사업
⑤ CDMO 사업
(3) 비전과 전략
2) 사업 현황
(1) 이뮨셀엘씨주 9년 연장추적 결과 발표
(2) 머크에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도입
(3) ‘CD5 CAR-NK’T 세포 림프종 국내 임상 1상 IND 승인
3-22. 테고사이언스(Tego Science Inc.)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및 특징
① 세포치료제 개발 및 생산
② CDMO(위탁개발 및 제조) 사업
③ 3차원 배양피부(네오덤®) 사업
(3) 성장 가능성과 비전
2) 사업 현황
(1) 美 FDA에 'TPX-115' 임상 2상 계획 신청
(2) 동종유래 주름개선 세포치료제 1상 착수
(3) 주름개선 세포치료제 '로스미르' 최종 품목허가
3-23. 바이오솔루션(Bio Solution)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① 세포치료제 개발 및 상용화
② 인체조직모델
③ 바이오융합소재
(3) 연구개발 현황 및 주요 파이프라인
① 카티라이프(연골 결손 치료제)
② 카티로이드(연골 결손 치료제)
③ 항암면역 세포치료제
④ 카티큐어셀 (골관절염 치료제)
⑤ 인체조직모델
⑥ 바이오융합소재
2) 사업 현황
(1) ‘카티라이프’ 정식 허가 기대
(2) 세포치료제 中 하이난 진출 위한 MoU 체결
3-24. 앱클론(AbClon Inc.)
1) 회사 개요
(1) 기업 개요
(2) 연구 및 기술 기반
(3) 주요 연구개발 플랫폼 및 신약 파이프라인
① NEST 플랫폼 – 항체 신약 개발
② AffiMab 플랫폼 – 이중항체 신약 개발
③ CAR-T 플랫폼 – 세포 치료제 개발
(4) 글로벌 시장 진출 및 사업 전략
2) 사업 현황
(1) AC101, HER2 양성 위식도암 생존율 향상
(2) 항체 발굴 플랫폼 'mRMab' 본격 가동
(3) 앱클론의 세포치료제 자신감
3-25. 아이진(Eye Gene)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주요 사업 및 연구개발 분야
① mRNA 기반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② 면역보조제(Adjuvant) 플랫폼 기술 및 백신 개발
③ 노화 관련 만성허혈성질환 치료제
(3) 미래 전략 및 전망
2) 사업 현황
(1) mRNA 백신 개발 5개社 공동연구 계약
(2) 필러 독자 개발
3-26. 강스템바이오텍(Kang Stem Biotech Co. Ltd.)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사업 부문
① 줄기세포 치료제 사업
② 화장품 사업
③ 바이오파마 사업
(3) 연구개발 현황
①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퓨어스템-에이디 주)
②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퓨어스템-알에이 주)
③ 크론병 치료제 (퓨어스템-시디 주)
④ 판상형 건선 치료제 (퓨어스템-시디 주)
⑤ 골관절염 치료제 (퓨어스템-오에이 키트 주)
2) 사업 현황
(1) 유영제약에 '골관절염 치료제' 기술 이전
(2) 日재생의료 심의위로부터 줄기세포 공급 승인
(3) 골관절염 치료제 ‘오스카’ 임상 2a IND 변경 승인
3-27. 유틸렉스(Eutilex Co. Ltd.)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연구개발 현황 및 계획
(3) 향후 전략 및 사업 확장
2) 사업 현황
(1) 바이오유럽에서 4세대 CAR-T 플랫폼 기술 공개
(2) 유틸렉스, 고형암 CAR-T 신약개발 확신
3-28. 지놈앤컴퍼니(Genome&Company)
1) 회사 개요
(1) 기업 프로필
(2) 신약 개발 사업
①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② 신규타깃 항암제
(3) CDMO 사업
(4) 컨슈머 사업
① 마이크로바이옴 화장품
② 마이크로바이옴 건강기능식품
2) 사업 현황
(1) 신규타깃 ADC 개발
(2) 신규타깃 항암제 연구 결과 세계적 학술지 게재
(3) 신규타깃 ADC용 항체 개발 집중
▶자세히보기
https://www.techforum.co.kr/shop_goods/goods_view.htm?category=01020500&goods_idx=30101
2025 글로벌 제약·바이오의약 세부분야별 기술, 시장 동향과 사업화 전략
[ 보고서 소개 ] 글로벌 제약 시장은 비만ㆍ당뇨병 치료제의 급성장과 면역항암제의 강세가 유지되면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약가 인하 정책과 미ㆍ중간 기술 패권을
www.techforum.co.kr
테크포럼은 ‘beyond technology’ 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모토로
국내/외 최신 기술 및 신성장 산업의 핵심 이슈와 동향을 분석하여 관련 업계 구성원들에게 정보와 소통의 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술 산업분야의 세미나, 컨퍼런스, 포럼을 기획/주최/주관 및 자료집/리포트 등을 제공 하고 있습니다.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문의: contact@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techforum.co.kr
'신간 리포트 > 헬스케어 | 푸드 | 뷰티 | 의료 | 바이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상하는 첨단 바이오산업 시장 동향과 미래전망 (0) | 2025.01.10 |
---|---|
사이넥스 국내 의료기기 시장보고서 - 국소지혈제 2024 (0) | 2025.01.06 |
2025 화장품 시장동향 및 전망 (0) | 2024.12.23 |
의료기기 주력제품 및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동향과 사업현황 (0) | 2024.11.23 |
사이넥스 국내 헬스케어 비즈니스 이슈리포트 - 국민건강보험 제도 2024 (0) | 2024.1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