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포럼은 ‘beyond technology’ 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모토로
국내/외 최신 기술 및 신성장 산업의 핵심 이슈와 동향을 분석하여 관련 업계 구성원들에게 정보와 소통의 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술 산업분야의 세미나, 컨퍼런스, 포럼을 기획/주최/주관 및 자료집/리포트 등을 제공 하고 있습니다.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문의: contact@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techforum.co.kr
제조사: 사이넥스
규격: 174쪽 (A4, PDF, VAT포함)
▶자세히보기
https://www.techforum.co.kr/shop_goods/goods_view.htm?category=01020K00&goods_idx=29991
본 도서는 'PDF파일' 로 제공됩니다.
- 인쇄 (O)
- 내용 복사 (X)
- 캡쳐 (X)
[ 요약 ]
2023년 국소지혈제 시장규모는 공급가 기준 ***억원, 최종 사용자인 의료기관 구입가 기준 ***억원으로 추정된다.
2023년 의료기관 구입가 기준 시장규모 총 ***억원 중에서 약 ***억원(**%)은 건강보험 급여에서 지불되었고, 나머지 약 ***억원(**%)은 비급여 환자 본인 부담으로 지불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건강보험에서 수술 당 국소지혈제의 실제 사용량을 모두 급여하지 않아 초과분을 환자가 전액 부담하고 있기 때문이다.
2023년 국소지혈제 급여액은 총 ***억원으로 2019년 ***억원 대비 연평균 **% 증가했다. 2023년 총 ***억원 중 외과수술용 의약품 급여액 약 ***억원(**%), 외과수술용 치료재료 급여액 약 ***억원(**%), 혈관 중재적 시술 후 치료재료 급여액 약 ***억원(**%)이었다.
국내 국소지혈제 시장은 2023년 이후 5년간 연평균 의약품은 **%, 의료기기는 **%씩 성장하여 2028년에는 시장규모가 최초 공급가 기준으로 약 ***억원, 최종 사용자인 의료기관 구입가 기준으로 총 ***억원에 각각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의료기관 구입가 기준인 총 ***억원 중 외과수술용이 약 ***억원(**%), 혈관 중재적 시술 후 사용이 약 ***억원(**%)으로 추정된다.
2023년 외과수술에 사용된 국소지혈제 의약품과 치료재료 급여 청구액을 진료과별로 살펴보면, 신경외과 약 ***억원으로 국소지혈제에 대한 전체 건강보험급여액 ***억원 중 가장 높은 비율인 **%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일반외과 ***억원(**%), 정형외과 ***억원(**%), 흉부외과 ***억원(**%) 순이었다.
2023년 외과수술에 사용된 국소지혈제 의약품과 치료재료 급여 청구액을 의료기관 종별로 살펴보면, 상급종합병원이 약 ***억원으로 전체 건강보험급여액 ***억원 중 가장 큰 비율인 **%를 차지했다. 이어서 종합병원 ***억원(**%), 병원 ***억원(**%) 순이었다.
2023년 혈관 중재적 시술 후 사용된 국소지혈제 치료재료 급여 청구액을 진료과별로 살펴보면, 소화기내과 등을 포함하는 내과가 약 ***억원으로 국소지혈제에 대한 전체 건강보험급여액 ***억원 중 가장 높은 비율인 **%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신경외과 ***억원(**%), 신경과 ***억원 (**%), 일반외과 ***억원(**%), 흉부외과 ***억원(**%), 정형외과 ***억원(**%) 순이었다.
2023년 혈관 중재적 시술 후 사용된 국소지혈제 치료재료 급여 청구액을 의료기관 종별로 살펴보면, 상급종합병원이 약 ***억원으로 전체 건강보험급여액 ***억원 중 가장 큰 비율인 **%를 차지했다. 이어서 종합병원 ***억원(**%), 병원 ***억원(**%) 순이었다.
2023년 국내에는 약 ***개 의약품 및 의료기기 제조사/수입사의 약 286개 제품이 건강보험에 등재되어 있다. 국소지혈제 시장에서 예상매출액 기준 8개 주요 공급 기업은 박스터, 현대약품, GC녹십자, 한국존슨앤존슨, 다림티센, 한미사이언스, 삼양홀딩스, 벡톤디킨슨코리아가 있었다.
이 중 공급량 상위 3개사(박스터, 다림양행, 현대약품)의 합계 시장점유율이 시장 전체의 약 **%를 차지했고, 나머지 ***개의 공급사가 시장의 약 **%를 공급한 것으로 추정된다. 국소지혈제 시장에서 상위 3개사의 시장점유율은 박스터(플로실, 티씰, 헤모패치 공급) **%, 다림양행(티씰, 써지셀, 베라씰, 콜라스탯 공급) **%, 현대약품(타코실 공급) **%로 꼽혔다.
국소지혈제 시장은 제품형태별로 크게 액체형, 패치형, 거즈형, 분말형으로 나누어진다. 제품 성분별로는 산화재생셀룰로오스, 젤라틴, 콜라겐, 복합성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지혈제 공급 기업들은 제품의 특성과 차별화된 영업 및 마케팅 전략으로 사용자의 수요에 맞게 각기 다른 제품 형태 및 성분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1990년대 의약품으로 허가된 아비텐, 써지셀 제품이 국내 국소지혈제 시장의 초기 기반을 닦았다. 2017년부터 의료기기로 허가된 국소지혈제가 별도산정불가에서 급여로 국민건강보험 영역에서 변화하면서 공급자수 증가와 제품의 다양화가 지속되고 있다. 이 국소지혈제 시장은 건강보험 급여 확대 정책에 힘입어 성장해왔으며, 이런 방향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국소지혈제 시장은 인구 고령화, 수술 건수, 로봇수술 건수, 암환자 수, 외상전문센터, 외국인 환자 수 증가에 힘입어 향후 5년간 연평균 **%(의약품 **%, 의료기기 **%) 정도 괄목할만한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제품의 작용기전, 형태, 크기 등을 기준으로 급여가격을 결정하는 건강보험의 가격결정방식은 다양한 재질과 효과를 가진 지혈제품의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가격유형을 만들어 내는 것이 어려워 기준가격보다 고가인 제품은 출시를 포기하거나 오랜 시간을 들여 새로운 가격유형을 신설해야 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국소지혈제는 포괄수가제 및 신포괄수가제의 포괄재료로 구분되어 있다. 그래서 포괄수가제와 신포괄수가제를 확대하여 적용하는 정부의 정책방향이 지혈제의 사용과 시장의 성장을 억제하는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제품의 출시가 지속되고 있지만 기존 제품에 대한 선호도는 의료기관 환경에서 사용자의 오랜시간 동안 누적되어 온 것으로 단기간 내 제품에 대한 신뢰도 측면에서 변화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것은 어려운 상황으로 보인다. 하지만 환자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효능이 우수한 국소지혈제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 잠재 수요 및 미충족 수요는 매우 높은 편이다. 빠른 지혈효과, 의료진의 사용편의성 개선, 준비시간 단축, 비용효과성 등을 개선한 신제품은 향후 국내 시장에서 성장의 기회가 열려있다.
[ 목차 ]
제1장 일러두기
1.1 취지
1.2 활용 제안
1.3 범위
1.4 용어
1.5 조사방법
1.5.1 문헌 조사
1.5.2 전문가 조사
1.6 분석 및 추정방법
1.6.1 자료원별 시장규모 가격 기준
1.6.2 환율 기준
1.6.3 시장규모 추정방법
1.6.3.1 급여규모 추정방법
제2장 핵심 요약
제3장 시장 현황
3.1 공급가 기준 시장규모
3.1.1 공급 규모 전망
3.2 의료기관 구입가 기준 시장규모
3.2.1 국소지혈제 전체 급여규모
3.2.2 외과수술용 국소지혈제 급여규모
3.2.2.1 주요 진료과별 급여규모
3.2.2.2 의료기관 종별 급여규모
3.2.3 혈관 중재적 시술 후 사용 국소지혈제 급여규모
3.2.3.1 주요 진료과별 급여규모
3.2.3.2 의료기관 종별 급여규모
제4장 주요 공급 현황
4.1 박스터 (Baxter)
4.2 현대약품 (Hyundai pharm)
4.3 GC녹십자 (GC Biopharma)
4.4 한국존슨앤드존슨메디칼 (Johnson & Johnson Medical)
4.5 다림티센 (DalimTissen)
4.6 한미사이언스 (Hanmi Science)
4.7 삼양홀딩스 (Samyang Holdings)
4.8 벡톤디킨슨코리아 (BD)
제5장 시장 특성
5.1 COVID-19로 인한 시장 영향
5.2 국내 헬스케어 시장 특성
5.2.1 국내 시장의 출현과 발전 역사
5.2.2 지불 환경의 변화 역사
5.2.3 국내 의료기관 수
5.2.4 국소지혈제의 급여 및 비급여 분류 기준
5.3 국소지혈제 시장규모 관련 주요 지표
5.3.1 인구 고령화 및 기대수명 증가
5.3.2 수술 건수
5.3.2.1 34개 다빈도 주요 수술 건수
5.3.2.2 급여기준 내 수술 건수
(1) 흡수성 체내용 지혈용품
(2) 소화기 내시경하 분말지혈제
(3) 흡수성 뼈 지혈제
5.3.3 로봇수술 건수
5.3.4 암환자 수
5.3.5 외상전문센터
5.3.6 외국인 환자 수
5.4 성장 견인 요인
5.4.1 수요
5.4.2 공급사 증가
5.5 기회
5.5.1 기대수명 증가로 인한 수술 수요 증가
5.5.2 전문병원 증가로 인한 시장 성장
5.5.3 건강보험정책의 급여 확대 정책
5.5.4 새로운 지혈기술에 대한 임상연구
5.6 성장 억제 요인
5.6.1 건강보험 가격결정 방식
5.6.2 원재료 수급의 불안정성
5.7 미충족 수요
Appendix1 이 보고서의 국소지혈제 시장규모 추계에 주로 포함된 제품 2024.12.01.
1.1 이 보고서의 국소지혈제 시장규모 추계에 주로 포함된 제품 - 의약품 2024.12.01.
1.2 이 보고서의 국소지혈제 시장규모 추계에 주로 포함된 제품 – 의료기기 2024.12.01.
Appendix2 제5기 1차년도 전문병원 지정 현황
[ 표목차 ]
표 1 국소지혈제의 허가 품목 분류
표 2 국내 국소지혈제 공급가 기준 시장규모 2019-2023 (단위: 백만원)
표 3 국내 국소지혈제 공급규모 전망 2023-2028 (단위: 백만원)
표 4 국내 국소지혈제 급여규모 2019-2023
표 5 국내 외과수술용 국소지혈제 급여규모 2019-2023
표 6 국내 외과수술용 국소지혈제 주요 진료과별 급여규모 2019-2023
표 7 주요 진료과별 외과수술용 국소지혈제 사용 전망
표 8 국내 외과수술용 국소지혈제 의료기관 종별 급여규모 2019-2023
표 9 국내 혈관 중재적 시술 후 사용 국소지혈제 급여규모 2019-2023
표 10 국내 혈관 중재적 시술 후 사용 국소지혈제 주요 진료과별 급여규모 2019-2023
표 11 국내 혈관 중재적 시술 후 사용 국소지혈제 의료기관 종별 급여규모 2019-2023
표 12 주요 브랜드별 제조 및 공급기업 현황
표 13 국내 국소지혈제 주요 공급사 시장점유율 추정치 2023
표 14 주요 기업별 제품형태별 공급 현황 2024.12.
표 15 제품형태별 주성분 및 특징
표 16 주요 기업별 제품성분별 공급 현황 2024.12. 기준
표 17 주요 수술 및 출혈양상별 주성분 관련 주요 제품
표 18 박스터 주요 공급 제품 – 플로실(FLOSEAL)
표 19 박스터 주요 공급 제품 – 티씰(Tisseel)
표 20 박스터 주요 공급 제품 – 헤모패치(Hemopatch)
표 21 현대약품 주요 공급 제품 – 타코실(Tachosil)
표 22 GC녹십자 주요 공급 제품 – 그린플라스트큐(Greenplast Q)
표 23 한국존슨앤드존슨메디칼 주요 공급 제품 – 써지셀(Surgicel)
표 24 한국존슨앤드존슨메디칼 주요 공급 제품 – 베라씰(VeraSeal)
표 25 다림티센 주요 공급 제품 – 콜라스탯(CollaStat)
표 26 한미사이언스 주요 공급 제품 – 콜라겐 레조브(Kollagen resorb)
표 27 한미사이언스 주요 공급 제품 – 젠타콜 리조브(GENTA-COLL resorb)
표 28 삼양홀딩스 주요 공급 제품 – 써지가드(SurgiGuard)
표 29 삼양홀딩스 주요 공급 제품 – 큐가드(Q-Guard)
표 30 벡톤디킨슨코리아 주요 공급 제품 – 아비텐(Avitene)
표 31 벡톤디킨슨코리아 주요 공급 제품 – 아리스타(Arista)
표 32 국내 의료기관 수 2019-2023 (단위: 개)
표 33 국소지혈제 급여 및 비급여 분류
표 34 국내 인구와 65세 이상 고령인구 추계
표 35 연도별 수술 청구건수 2019-2023
표 36 의료기관 종별 주요 수술 현황 2018-2022 (단위: 건)
표 37 주요 수술 건수 추이 2018-2022 (단위: 건)
표 38 흡수성 체내용 지혈용품 치료재료 중분류 2024.12.01.
표 39 흡수성 체내용 지혈용품 급여기준.
표 40 흡수성 체내용 지혈용품 급여기준 내 수술 건수 2019-2023
표 41 장기이식 수술 건수 2019-2023
표 42 소화기 내시경하 분말지혈제 치료재료 중분류 2024.12.01.
표 43 소화기 내시경하 분말지혈제 관련 급여기준.
표 44 소화기 내시경하 분말지혈제 급여기준 내 시술 건수 2019-2023
표 45 흡수성 뼈 지혈제 치료재료 중분류 2024.12.01.
표 46 흡수성 뼈 지혈제 급여기준.
표 47 흡수성 뼈 지혈제 관련 수술 건수 2019-2023
표 48 로봇수술 관련 행위코드 및 명칭
표 49 국내 의료기관 종별 로봇수술기 보유 현황 2019-2023 (단위: 대)
표 50 암종별 암 발생자수 현황 2017-2021 (단위: 명)
표 51 권역외상센터 개소 세부 현황 2023.03.24.
표 52 외국인 환자 현황 2019-2023 (단위: 명)
표 53 의료기관 종별 외국인 환자 현황 2019-2023 (단위: 명)
표 54 진료과목별 외국인 환자 현황 2019-2023 (단위: 명)
표 55 성장 견인 요인 지표별 전망 요약
표 56 국소지혈제 급여 제품 공급사 현황 2019-2023 (단위: 개)
표 57 전문병원 지정 현황 2023.12. (단위: 개)
표 58 국소지혈제 관련 급여기준
표 59 국소지혈제 임상시험 승인현황 2019-2024 (2024.12.02.)
표 60 국소지혈제 치료재료별 급여상한금액 기준가 2024.12.
[ 그림목차 ]
그림 1 국내 국소지혈제 공급가 기준 시장규모 2019-2023 (단위: 백만원)
그림 2 국내 국소지혈제 공급가 기준 시장규모 내 의약품 및 의료기기 비중 2019-2023
그림 3 국내 국소지혈제 공급규모 전망 2023-2028 (단위: 백만원)
그림 4 국내 국소지혈제 의료기관 구입가 기준 시장규모 2023
그림 5 국내 국소지혈제 의료기관 구입가 기준 시장규모 전망 2028
그림 6 국내 국소지혈제 급여규모 2019-2023
그림 7 국내 외과수술용 국소지혈제 급여규모 2019-2023
그림 8 국내 외과수술용 국소지혈제 주요 진료과별 급여규모 2023 (단위: 백만원)
그림 9 국내 외과수술용 국소지혈제 주요 진료과별 급여규모 2019-2023
그림 10 국내 외과수술용 국소지혈제 의료기관 종별 급여규모 2023 (단위: 백만원)
그림 11 국내 외과수술용 국소지혈제 의료기관 종별 급여규모 2019-2023
그림 12 국내 혈관 중재적 시술 후 사용 국소지혈제 급여규모 2019-2023
그림 13 국내 혈관 중재적 시술 후 사용 국소지혈제 주요 진료과별 급여규모 2023 (단위: 백만원)
그림 14 국내 혈관 중재적 시술 후 사용 국소지혈제 주요 진료과별 급여규모 2019-2023
그림 15 국내 혈관 중재적 시술 후 사용 국소지혈제 의료기관 종별 급여규모 2023 (단위: 백만원)
그림 16 국내 혈관 중재적 시술 후 사용 국소지혈제 의료기관 종별 급여규모 2019-2023
그림 17 국내 국소지혈제 주요 공급사 시장점유율 추정치 2023
그림 18 국내 수술 건수 2019-2022
그림 19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
그림 20 기대수명 추이 2011-2021 (단위: 년)
그림 21 국내 연도별 수술 청구건수 2019-2023
그림 22 주요 수술 현황 2018-2022 (단위: 건)
그림 23 국내 의료기관 종별 로봇수술기 보유 현황 2019-2023 (단위: 대)
그림 24 외국인 환자 수 2019-2023 (단위: 명)
그림 25 국내 국소지혈제 시장의 미충족 수요
[ 언급된회사 ]
박스터 (Baxter)
현대약품 (Hyundai pharm)
GC녹십자 (GC Biopharma)
한국존슨앤드존슨메디칼 (Johnson & Johnson Medical)
다림티센 (DalimTissen)
한미사이언스 (Hanmi Science)
삼양홀딩스 (Samyang Holdings)
벡톤디킨슨코리아 (BD)
▶자세히보기
https://www.techforum.co.kr/shop_goods/goods_view.htm?category=01020K00&goods_idx=29991
테크포럼은 ‘beyond technology’ 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모토로
국내/외 최신 기술 및 신성장 산업의 핵심 이슈와 동향을 분석하여 관련 업계 구성원들에게 정보와 소통의 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술 산업분야의 세미나, 컨퍼런스, 포럼을 기획/주최/주관 및 자료집/리포트 등을 제공 하고 있습니다.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문의: contact@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techforum.co.kr
'신간 리포트 > 헬스케어 | 푸드 | 뷰티 | 의료 | 바이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상하는 첨단 바이오산업 시장 동향과 미래전망 (0) | 2025.01.10 |
---|---|
2025 화장품 시장동향 및 전망 (0) | 2024.12.23 |
의료기기 주력제품 및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동향과 사업현황 (0) | 2024.11.23 |
사이넥스 국내 헬스케어 비즈니스 이슈리포트 - 국민건강보험 제도 2024 (0) | 2024.11.13 |
2025 디지털전환(DX)과 AIX기술 융합으로 진화하는 글로벌 의료·헬스케어 유망 서비스 기술 개발 동향과 사업화 전략 (0) | 2024.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