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포럼은 ‘beyond technology’ 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모토로
국내/외 최신 기술 및 신성장 산업의 핵심 이슈와 동향을 분석하여 관련 업계 구성원들에게 정보와 소통의 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술 산업분야의 세미나, 컨퍼런스, 포럼을 기획/주최/주관 및 자료집/리포트 등을 제공 하고 있습니다.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문의: contact@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techforum.co.kr
제조사: IRS Global
규격: 751쪽 (B5, 서적, PDF)
ISBN: 9791190870863
** 본 도서는 그래프와 표로 구성된 통계BOOK입니다.
▶자세히보기
https://www.techforum.co.kr/shop_goods/goods_view.htm?category=01020500&goods_idx=28991
[보고서 소개]
기후테크는 기후(Climate)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온실가스 감축(mitigation)과 기후적응(adaptation)에 기여함과 동시에 수익을 창출하는 모든 혁신기술을 의미한다.
우리 정부는 2023년 6월에 녹색성장 新성장 동력인 기후테크 기업들의 성장 성공모델 창출 및 수출산업화를 위한 ‘기후테크 산업 육성전략’을 마련하였다.
기후테크 산업은 글로벌 탄소중립 투자 증가로 최근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우리 정부도 기후테크 기업의 성장을 지원함으로써 탄소중립 시대의 혁신기술을 확보하고, 기후테크 시장을 선점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정부는 ① 2030년까지 민관 합동 약 145조원 규모의 투자·R&D 지원을 통해 기후테크 분야 유니콘 기업 10개 육성 및 신규일자리 10만개 창출을 기대하고 있으며, ② 공공조달과 연계하여 초기수요를 견인하고, 공공브랜드 지원, 국제협력 강화 등 수출 지원을 통해 ’30년 수출규모 100조원 달성 추진, ③ 자발적 탄소시장 활성화, 산업분류체계 개편, 인력양성 확대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기반을 구축ㆍ강화할 계획이다.
이미 우리나라는 기후테크를 적극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를 확립하고 핵심 산업 부문에서 민관이 협력하고 있다.
특히, 공기 중 탄소포집ㆍ저장 및 탄소 감축 기술인 ‘카본테크’, 자원순환과 저탄소원료 및 친환경 제품 개발에 초점을 둔 ‘에코테크’, 식품 생산ㆍ소비 및 작물 재배 과정 중 탄소 감축 기술인 ‘푸드테크’, 탄소관측ㆍ모니터링 및 기상정보 활용 기술인 ‘지오테크’, 재생ㆍ대체에너지 생산 및 분산화 솔루션 제공 기술인 ‘클린테크’를 기후테크 5대 핵심 분야로 선정하여 자원을 집중하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이상기후와 자연재해. 그 원인인 지구 온난화를 막아 탄소중립과 넷제로 실현을 위해 빼놓을 수 없는 “기후 테크”가 최근 크게 주목받고 있다.
기업의 탄소중립 선언과 ESG 경영 등 기후테크 산업에 대한 글로벌 투자는 확대되고 있으며, 투자 확대에 힘입어 기후테크 산업 관련 시장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혁신적인 변화들은 관련 기업들에게 경험해보지 못한 위험과 기회가 공존하는 요소로 다가오고 있으며, 분명한 것은 이러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혁신을 선도하는 기업들만이 치열한 경쟁 속에서 생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다양한 통계와 데이터의 시장분석을 기반 한 비즈니스 의사결정은 기업 성장을 촉진하며, 향후 다가오는 위험(risk)을 기회(chance) 요소로 바꿀 수 있는 중요한 수단임에 틀림없다.
더불어, 국내 기업들이 해외 현황을 파악하여 글로벌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서라도 Market Data 분석은 반드시 요구되는 분야이며, 급속도로 변화하는 글로벌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도 신속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데이터는 필연적이다.
이에 IRS글로벌은 본서에서 기후테크 5대(클린/카본/에코/푸드/지오) 분야별 Market Data를 광범위하고 면밀하게 조사하여, 기후테크 관련 업계의 R&D와 경영전략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모쪼록 유용한 정보로 활용되어 미력하나마 기후테크 관련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 목차 ]
Ⅰ.기후 테크(Climate Tech)
1. 기후 테크
1-1. 기후테크 시장
1-2. 기후테크 투자 규모 및 현황
1-3. 녹색 채권(Green Bond)
1-4. 기후테크 스타트업 현황
2. 기후변화
2-1. 기후변화 현황과 전망
2-2. 온실가스 배출 현황과 전망
3. 자연재해
3-1. 글로벌 자연재해 발생 현황
3-2. 자연재해 유형별 현황
1) 지진
2) 홍수
3) 산불
4) 극한 날씨
Ⅱ. 에코테크(Eco Tech)
1. 플라스틱 재활용
1-1.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 규모 및 전망
1-2. ABS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 규모 및 전망
1-3. 페트(PET)병 재활용 시장
1-4. 플라스틱 폐기물
1-5. 폐플라스틱 무역 현황
1) 글로벌 교역 현황
2) 미국 수출입 현황
3) 유럽 수출입 현황
4) 한국 수출입 현황
1-6. 플라스틱 포장재 재활용 시장
1) 글로벌 시장 전망
2) 플라스틱 재활용 기업 실적 및 현황
1-7. 플라스틱 재활용에 대한 소비자 의식
2. 배터리 리사이클링
2-1. 글로벌 배터리 재활용 시장 전망
2-2. 유럽 배터리 재활용 시장 전망
2-3. 일본 배터리 재활용 시장
2-4. 배터리 재활용 기업 실적 및 현황
3. 전자폐기물 리사이클링
3-1. 글로벌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장 전망
3-2. 미국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장
3-3. 일본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장
3-4. 인도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장
3-5. 스마트폰 재활용 시장
Ⅲ. 푸드테크(Food Tech)
1. 스마트 농업
1-1. 스마트팜 시장
1) 주요국별 스마트팜 시장 전망
2) AI와 농업로봇 시장 전망
3) 스마트 농기계 시장 전망
4) 어그테크 투자 현황과 전망
1-2. 수직농업 시장 전망
1-3. 수경재배 시장 전망
1-4. 실내농업 조명 시장 전망
2. 대체육
2-1. 글로벌 육류 시장 전망
2-2. 글로벌 대체육 시장
1) 글로벌 시장 전망
2) 미국 소비 현황
3) 유럽 소비 현황과 시장 전망
4) 영국 소비 현황과 시장 전망
5) 프랑스 소비 현황
6) 독일 소비 현황
7) 중국 소비 현황
8) 일본 소비 현황과 시장 전망
9) 인도 소비 현황
10) 호주 소비 현황과 시장 전망
11) 한국 소비 현황과 시장 전망
2-3. 글로벌 배양육 시장 전망
2-4. 주요국별 식물성 고기 시장 전망
Ⅳ. 카본테크(Carbon Tech)
1. 넷제로(Net-Zero) & 이산화탄소 배출
1-1. 넷제로
1-2. 이산화탄소 배출
2. CCS(탄소포집·저장),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
1-1. CCS(탄소포집·저장) 시장
1) 시장 개요
2) CCS 프로젝트 현황
3) CCS 현황과 용량
4) CCS 투자 현황
5) CCS 시장 전망
1-2.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 시장
1) 탄소 시장 전망
2) CCUS 시장 전망
3. 배출권거래제(ETS)
3-1. 글로벌 시장 전망
3-2. 유럽 시장 전망
4. 탄소 가격
5. 직접공기포집(DAC)
6. 탄소 제거(CDR) 기술
Ⅴ. 클린테크(Clean Tech)
1. 신재생에너지
1-1. 시장 개요
1-2. 신재생에너지별 설치용량
1-3. 신재생에너지별 발전량
1-4. 신재생에너지별 소비 동향
1-5. 신재생에너지 기업 실적 및 현황
1-6. 투자 현황
2. 태양광
2-1. 산업 개요
2-2. 설치용량
2-3. 태양광 발전
2-4. 태양광 설치비용
2-5. 태양광 부품 시장
2-6. 태양광 기업 실적
2-7. 태양광 투자 산업
2-8. 태양광 시장 전망
3. 풍력 & 해상 풍력
3-1. 풍력
1) 산업 개요
2) 풍력발전 시장 전망
3) 풍력 설치용량
4) 풍력 터빈 시장 전망
5) 주요 경제지표
6) 풍력 기업들의 실적 및 현황
3-2. 해상풍력
1) 해상풍력의 파이프라인과 전망
2) 해상풍력 설치용량
3) 해상풍력 설치비용(가중평균)
4) 유럽의 해상풍력 시장
4. ESS
4-1. ESS 글로벌
4-2. ESS 미국
4-3. ESS 유럽
4-4. ESS 인도
Ⅵ. 지오테크(Geo Tech)
1. 위성산업
2. 기상관측장비
2-1. 시장 전망
2-2. 기상예보 시장 전망
2-3. 기상관측장비 수요 동향
3. 날씨 앱
▶자세히보기
https://www.techforum.co.kr/shop_goods/goods_view.htm?category=01020500&goods_idx=28991
'신간 리포트 > 에너지 | 기후 |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유해인자 분야별 대응 R&D 분석 -화학물질/방폐물/대기·수질/플라스틱 (0) | 2024.07.03 |
---|---|
2024년 글로벌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관련 기술, 시장 전망과 사업전략 (0) | 2024.06.28 |
청정연료 분야별 생산기술 전망과 항공/해운부문 대체연료 전환 동향 (0) | 2024.05.24 |
2024 물 산업 부문별 시장동향과 주요 업체별 사업현황 (0) | 2024.05.21 |
강화되는 글로벌 ESG 규제로 성장이 예상되는, 유망 환경산업 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0) | 2024.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