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구매
https://www.techforum.co.kr/shop_goods/goods_view.htm?category=01020800&goods_idx=28481
제조사: 지식산업정보원
규격: 628쪽 (A4)
ISBN: 9791158622527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contact@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techforum.co.kr
‘K-뷰티’ 흐름을 타고 국내 화장품 브랜드 매출이 고공상승 중이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2023년 국내 중소기업의 수출 1위 품목은 화장품으로, 전체 수출액이 전년 대비 20.2% 늘어난 53억 8000달러(약 7조 1739억원)이었다. 대기업들이 기존에 주력했던 중국으로의 수출은 줄고, 수출국이 다변화하며 미국은 전년 대비 47.2%, 베트남은 28.6%, 일본은 12.9%의 성장률을 보였다. 더불어 ‘K-컨텐츠’ 열풍에 힘입어 중동, 중남미, 아프리카 시장까지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데 국내 중소 브랜드들은 대형 유통업체와 함께 해외 공략에 나서면서 국내 화장품의 성장세는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국내 화장품업계는 첨단 기술을 도입한 뷰티테크에도 집중하고 있다. 뷰티테크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화장품의 기능과 편의성을 향상시킨 제품을 말한다
‘K-푸드’가 전 세계에서 각광을 받으며 비약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김치, 김밥, 만두 등 대표적 한국 음식들이 해외 온라인 쇼핑몰과 오프라인 매장에서 인기를 끄는 중이다. 2023년 K-푸드 수출액 규모는 121억 4000만 달러로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한 바 있다. 이에 정부는 2024년 135억달러 수출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이는 작년 실적보다 11.2% 증가한 규모이다. 또한 3대 신시장인 중동, 중남미, 인도 시장 개척을 위해 K-푸드 박람회 개최 등을 추진한다. 3대 신시장 수출 비중을 2023년 6%에서 2024년 8%로 확대한 후 2027년까지 12%로 늘릴 계획이다. 더불어 K-푸드 경쟁력 제고를 위해 할랄 인증 상호인정협약을 현재 7개국에서 9개국으로 늘리고 인증 지원 등 할랄 시장 진출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K-Beauty, K-Food 산업이 중‧장기적으로 세계 시장을 선도해 나가는데 도움이 되고자 관련 기관들의 분석 정보 자료를 토대로 「경공업 2.0시대로의 산업구조 변화와 K-푸드/K-뷰티 분야별 유망기술 분석」을 발간하였다. 본서의 1편에서는 소비재 수출입 동향분석, 2편에서는 K-푸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미래 유망기술의 연구개발 동향, 3편에서는 최신 화장품 연구개발 트렌드와 K-뷰티 해외진출 현황을 다루었다.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 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Ⅰ편 소비재 산업동향과 전망
제 1장 주요국 소비재 산업과 수출입 동향분석
1. 최근 소비재 수출 동향
1) 주요 국가·지역별 소비재 수입 동향
(1) 미국
(2) EU
(3) 중국
(4) 아세안
2) 국내 소비재 수출 동향
(1) 품목
(2) 국가
2. 주요 소비재산업 수요 및 실적전망
1) 코로나 전후 민간소비 변동
(1) 품목별 소비추이
(2) 유통채널별 소비추이
2) 민간소비 전망
3) 주요 소비재산업·유통채널 수요 및 실적전망
(1) 유통채널 별 전망
(2) 주요 소비재산업 전망
가. 자동차
나. 제약
다. 화장품
라. 음식료
마. 의류
바. 가전제품
사. 가구
Ⅱ편 미래 식품산업 경쟁력 강화와 K-Food 성장
제 1장 k-푸드 해외진출 현황 및 전통식품 경쟁력 강화
1. 글로벌 산업으로 성장하는 ‘K-Food’
1) 국내외 식품산업 현황 및 전망
(1) 국내 식품산업 현황
가. 식품산업 전체
A) 산업 규모
B) 산업 구조
C) 산업 동향
나. 주요 분야 현황
A) 건강기능식품 등 : 8.6%
B) 우유 및 유제품 : 7.3%
C) 떡·빵·과자류 : 7.2%
D) 간편조리식품 등 : 6.5%
(2) 대내외 식품산업 여건 전망
(3) 해외 식품산업 정책 동향
2) 제 4차(`23~`27)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
(1) 추진 배경
(2) 기본계획 주요 내용
가. [전략1] 푸드테크·그린바이오 기술을 통한 식품산업의 혁신 성장 도모
A) 푸드테크
B) 그린바이오
나. [전략2] K-Food 경쟁력 강화로 `27년까지 농식품 수출 150억불 달성
다. [전략3] 김치·전통주·장류 등 전통식품 산업 활성화 기반 마련
라. [전략4] 농업-식품기업간 지속가능한 상생협력 체계 구축
마. [전략5] ESG 등 변화된 경영 환경 대응 등 식품산업의 성장 기반 공고화
2. 인기 한국 식품과 해외 진출 현황
1)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
(1)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 실적
(2) 글로벌 시장 선도 K‧블루푸드 수출 전략
가. 추진 배경
나. 주요 추진내용
2) 해외 K-FOOD(한국 식품) 쇼핑트렌드
(1) 홍콩
가. 20~30대 소비자의 사랑을 받는 한국 라면
나. 비빔밥과 간식용으로 인기 많은, ‘조미김’
다. 합리적인 프리미엄 포도, ‘샤인머스캣’
라. 한국 카페의 유행으로 번진 ‘커피조제품’의 인기
마. 면역력 증진 대표 건강식품 ‘한국 인삼’
(2) 일본
가. 일본의 EC(전자상거래) 시장 현황
나. 일본 온라인 한국판촉 행사 인기상품 TOP 10
다. 일본에서 온라인 구매율이 높은 냉동식품, 레토르트 식품
(3) 베트남
가. 베트남 전자상거래시장 현황
나. 베트남 신규 온라인몰 플랫폼
(4) 말레이시아
가. 말레이시아 온라인 쇼핑 시장 동향
나. 말레이시아 온라인 쇼핑몰 성장의 특징
다. 말레이시아 온라인 쇼핑몰에 판매되고 있는 한국 식품
라. 말레이시아 온라인 쇼핑몰 인기 TOP 5 품목
(5) 중국
가. 중국 전자상거래 발전과 이용자 현황
나. 한국식품 판매량 및 매출액 비중
(6) 인도네시아
가. 인도네시아 주요 온라인 쇼핑몰 인기 한국 식품
나. 2023년 인도네시아 인기 한국식품 만두
(7) 미국
가. 한국 치킨
나. 한국식 콘도그
다. 냉동 김밥
라. 떡볶이
(8) UAE
가. 한국의 대표 음식인 김치
나. 한국 프리미엄 과일의 중동 시장 잠재력
3) 유럽 유통매장 식품 트렌드와 한국식품 진출 현황
(1) 프랑스
가. 프랑스의 유통매장 형태와 특징
나. 프랑스 유통매장 내 간편식 제품의 현황과 트렌드
다. 프랑스 유통매장 내 한국식품 진출 현황
(2) 영국
가. 영국 유통매장 내 간편식 제품의 현황과 트렌드
나. 영국 유통매장 내 한국식품 진출 현황
(3) 독일
가. 독일 유통매장 내 간편식 제품의 현황과 트렌드
나. 독일 유통매장 내 한국식품 진출 현황
(4) 러시아
가. 러시아 식품 유통채널 현황 및 특징
나. 러시아에서 한국식품 취급 유통채널
4) 김‧밥‧면류 소비동향 및 수출동향
(1) 김‧밥 수출현황 및 실적
가. 현황
나. 요인
다. 물량
라. 품목
마. 국가
바. 관련 통계
A) 국가별 수출액 현황
B) 품목별 수출액 현황
C) 대륙별 수출액 현황
(2) 세계 면류 유통 및 소비동향
가. 중국
A) 중국의 면류 시장
B) 라면 시장 동향
C) 라면 시장 트렌드의 변화
D) 차세대 면류 시장
나. 베트남
A) 베트남 면류 소비 및 유통현황
B) 베트남 내 한국 라면 시장동향
다. 태국
A) 태국 라면 시장 현황
B) 태국의 라면 수입 동향
C) 태국의 라면 유통 현황
D) 태국의 라면 소비동향
E) 태국 내 유통 중인 한국 면류
라. 말레이시아
A) 말레이시아 면류 시장 규모
B) 2022년 말레이시아 인기 라면 순위
C) 말레이시아 VS 한국
D) 말레이시아 라면 트렌드 : 화끈한 매운맛
E) 말레이시아 내 한국 라면 트렌드 : 먹방 따라하기
F) 말레이시아 한국 라면 시장 전망
3. 전통식품 산업 현황과 수출전략
1) 김치산업 현황과 최근 동향
(1) 식료품제조업 중 김치류 비중은 낮지만, 외적 성장세는 더 높음
(2) 김치류 제조업체의 매출액 성장세에도 많은 비용 투입으로 높지 않은 이익률
(3) 김치류 제조업체의 업체당 종사자 수 감소하나, 상용종사자 중심의 고용 구조
(4) 최근의 대내외 환경 변화 김치류 제조업체 성장에 유리하게 작용
2) 장류 산업 현황과 시사점
(1) 식품 관련업에서 장류제조업 비중은 점차 감소, 외적 성장세도 정체 또는 감소 추세
(2) 특정 기업들의 인지도와 시장점유율이 높은 특징, 중·대기업의 우위가 더욱 강화
(3) 장류제조업 성장에 유리한 요인
3) 전통주 산업의 동향과 전망
(1) 국내 주류산업의 시장규모 최근 감소 추세, 음식료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감소
(2) 2022년을 기점으로 모든 주종의 출고량이 다시 증가하는 추세
(3) 국내 주류 수입액이 수출액의 4.4배, 주류 수출입 격차 확대
(4) 국내 전통주(민속주, 지역특산주) 시장규모
(5) 전통주 산업동향
(6) 전통주는 젊은 세대가 찾는 매력적인 술로 변모 중
(7) 전통주에 대한 관심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고조되는 현상
제 2장 푸드테크 주요동향과 식품포장재 품질안전 R&D
1. 글로벌 푸드테크 주요동향
1) 이슈 배경
(1) 기술의 정의 및 범위
2) 푸드테크 기술동향
(1) 기술동향 개요
(2) 신식품개발
가. 세포배양식품
나. 식물기반식품
다. 간편식
라. 식품커스터마이징
(3) 식품제조
가. 식품프린팅
나. 식품스마트제조
(4) 식품유통
가. 식품스마트유통
(5) 외식서비스
가. 외식푸드테크
(6) 식품처리
가. 푸드업사이클링
나. 친환경식품포장
3) 푸드테크 산업 동향
(1) 글로벌 산업 동향
가. 해외 시장전망
나. 글로벌 트렌드
다. 국가별 산업화 현황
(2) 국내 산업동향
가. 국내 시장전망
나. 시장 대비 기술수준
다. 국내 산업화 현황
라. 산업생태계
4) 푸드테크 정책동향
(1) 해외 정책 동향
가. 미국
나. EU
다. 일본
라. 중국
(2) 국내 정책 동향
2. 푸드테크 로봇 개발동향 및 활용사례
1) 협의의 푸드테크 로봇
(1) 음식료 조리 로봇
가. 국내
나. 해외
A) 미국
B) 유럽
C) 일본
D) 이외 국가
(2) 음식료 서빙 로봇
가. 국내
나. 해외
A) 중국
B) 이외 국가
(3) 기타 접객, 정리, 설거지 로봇
(4) 음식 배달 로봇
2) 광의의 푸드테크 로봇
(1) 농업용 로봇
(2) 식품 공장 가공·제조 로봇
(3) 식료품 창고 물류 로봇
3) 푸드테크 로봇 규제동향
4) 푸드테크 로봇 시장동향
3. 국내외 수산 분야 푸드테크 적용 사례
1) 블루 푸드테크
2) 식품개발 분야 적용 사례
3) 서비스 분야 적용 사례
4. 식품 품질안전을 위한 식품포장재 재활용‧생분해 플라스틱 생산기술
1) 식품 포장재 현황
(1) 종이팩
(2) 플라스틱
(3) 유리병
(4) 금속캔
(5) 친환경 플라스틱 포장재
2) 식품 포장재 시장 동향
(1) 시장 특성
(2) 시장 트렌드 변화
3)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플라스틱 동향
(1) 식품포장용 소재 기술개
가. 식품포장용 소재 특성
A) 식품포장 소재의 필요 요소
B) 수분 차단성
C) 기체 차단성
D) UV 차단성
E) 내열성
F) 생체 안정성
G) 기계적 특성
H) 간편성
I) 친환경성
나. 식품포장용 소재 기술동향
A) 라미네이트 필름
B) 블렌딩
C) 코팅 필름(Coating Film)
(2)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플라스틱 관련 시장 동향
가. 국외 동향
나. 국내 동향
(3)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플라스틱 관련 기술 동향
가. 생분해성 고분자 기술
A) 생분해성 고분자의 분해 속도와 조건
B) 분해 메커니즘
나. 생분해성 고분자의 한계와 개선 방안
다.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플라스틱 기술 사례
A) BASF
B) NatureWorks
C) CJ제일제당
D) 한국화학연구원
E) 경희대학교
F)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G) 한국연구재단
H) 한국생명공학연구원
(4)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플라스틱 관련 정책 동향
가. 국외 동향
A) 규제 및 지원사항
B) 규격 및 인증제도
나. 국내 동향
A) 규제 및 지원사항
B) 규격 및 인증제도
4) 식품 폐포장재 재활용 기술 개발 현황
(1) 중량감소 기술
가. 쿠팡(한국)
나. 풀무원(한국)
다. 동원 F&B(한국)
(2) 재질전환 기술
가. 유니소재 기술
A) SR테크노팩(한국)
B) 롯데칠성(한국)
C) 롯데제과(한국)
나. 종이소재 기술
A) 롯데제과(한국)
B) 한솔제지(한국)
C) 동서식품(한국)
D) Numi Organic Tea(미국)
E) 무림페이퍼(한국)
(3) 리사이클링 기술
가. 분리·선별
나. 에너지 재활용
다. 물리적 리사이클링
라. 화학적 리사이클링
A) 해중합(depolymerization)
B) 열분해(pyrolysis)
C) 가스화(Gasfication)
제 3장 차세대 식품가공 R&D -쌀가공/향미소재/업사이클링/발효-
1. 쌀가공산업 육성 및 글루텐프리 식품 연구동향
1) 제3차 쌀가공산업 육성 5개년 기본계획 주요 내용
(1) 현황 및 한계
(2) 기본 방향 및 목표
(3) 부문별 주요 계획
가. 미래 유망분야 집중 육성으로 성장동력 마련
A) 유망품목 집중 육성
B) 가루쌀 산업육성
나. 국내외 수요기반 확대
A) 글루텐프리 인증기업 육성
B) 수출 확대
C) 구매 접점·경험 증대
다. 산업 성장기반 고도화로 경쟁력 제고
A) 원료공급
B) R&D
C) 시설·경영
D) 정보 제공
E) 제도정비
2) 주요 쌀가공식품 품목(가공밥, 떡류) 시장 동향
(1) 즉석밥
(2) 냉동김밥
(3) 도시락
(4) 떡볶이 떡
(5) 냉동떡
3) 국내 글루텐 프리 식품 연구현황
(1) 국내외시장 및 산업 동향
가. 해외시장 규모
나. 국내시장 규모
(2) 국내 기술 동향 및 사례
가. 국내 기술 동향
나. 국내 주요 기술 동향
다. 글루텐프리 식품 사례
A) ㈜한스코리아
B) 대상
(3) 특허 기술 동향
2. 향미 소재의 연구 및 산업동향
1) 고기향 관련 향미 소재의 연구 동향
(1) 연구동향
(2) 고기향 관련 향미 소재의 발전 방향
2) 매운맛 관련 향미 소재의 연구 동향
(1) 연구동향
(2) 매운맛 관련 향미 소재의 발전 방향
3) Savory flavor 산업 동향
(1) 시장 동향
가. 세계 시장 규모 및 동향
나. 국내 시장 규모 및 동향
A) 국내 시장 규모
B) 국내 수출입 동향
C) 국내 주요 수요처 현황
(2) 기술 동향 분석
가. 해외
나. 국내
3. 식품 부산물 이용 업사이클링 기술과 소재개발
1) 푸드 업사이클링(Food upcycling)
(1) 식품산업에서의 업사이클링
가. 식품산업의 주요 자원순환 분야
나. 식재료의 순환 분야
다. 식품 산업과 관련된 자원순환 분야
라. 식품부산물 업사이클링
마. 푸드 업사이클링의 가치
(2) 푸드 업사이클링 산업 현황
가. 자원 활용·탄소 배출 저감 등 대안은 식품 업사이클링(Food Upcycling)
나. 식품 업사이클링 사례
A) 부산물로 만든 제품
B) 원재료 껍질을 이용하여 만든 제품
C) 상품성이 낮은 농산물을 이용하여 만든 제품
D) 비건 식품으로 출시된 제품
다. 해외 푸드 업사이클링(Food Upcycling) 정책 및 산업 동향
2) 축산 부산물 활용을 위한 업사이클링 기술
(1) 업사이클링(Upcycling)
(2) 부산물의 업사이클링
가. 축종에 따른 부산물의 종류와 특징
나. 부산물 업사이클링을 위한 기술
A) 비식용 동물성 지방을 이용한 바이오 디젤 생산
B) 기능성 물질 추출
다. 육가공품 제작
(3) 축산 부산물 업사이클링의 시사점
4. 발효 및 효소 활용 생물전환을 통한 식품소재의 고도화
1) 생물전환
(1) 생물전환 개념
(2) 생물전환 기술개발 배경 및 필요성
가. 건강과 웰빙으로 인한 생물전환 식품에 대한 관심 증가
나. 생물전환 식품에 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확대
다. K 푸드의 세계화 기회
2) 발효 공정과 산업 현황
(1) 발효 개념
(2) 발효 공정의 유형
가. 비연속 발효
나. 유가 배양식 발효
다. 연속 발효
(3) 발효 산업
가. 발효 산업 분류
나. 발효 산업의 현황
A) 세계 시장 규모
B) 세계의 동향
C) 제품별 시장 현황
다. 국내 발효 산업의 현황
3) 효소를 통한 생물전환의 산업과 아이템
(1) 차가버섯 추출물
가. 차가버섯의 특징
나. 폴리페놀의 추출
(2) 인삼 사포닌(진세노사이드)
가. 진세노사이드의 특징
나. 진세노사이드의 생물전환, C-K 생산
(3) 효소분해 단백질
(4) 저분자 콜라겐
가. 콜라겐의 정의
나. 콜라겐의 구조
다. 콜라겐의 특징
라. 콜라겐의 효능
마. 저분자 콜라겐
제 4장 미래 대응 식품 R&D -대체식품/맞춤형/건강기능식품-
1. 대체식품 최근 동향과 기술개발 현황
1) 대체식품 산업
(1) 대체식품 개념
가. 정의
나. 분류
A) 식물성 고기
B) 세포기반식품
C) 식용곤충
다. 대체식품 R&D의 필요성
(2) 대체식품 산업 동향
가. 글로벌
나. 국내
2) 배양육 산업과 개발현황
(1) 배양육의 개념 및 특징
(2) 배양육 제조기술 및 제조단계
(3) 국내외 배양육 기업 현황
가. 해외
나. 국내
(4) 국내외 배양육 규제 현황
가. 해외
나. 국내
3) 식물성 대체육 개발 트렌드와 시장동향
(1) 식물성 대체육 국내 시장 동향
가. 국내 대체육 시장 현황
나. 국내 식물성 대체육 시장 규모 및 성장성
다. 국내 대체육 시장 R&D 투자 현황
(2) 주요 가공식품 브랜드
가. 국내 브랜드
나. 국외 브랜드
(3) 국내 주요 식품 서비스
가. 국내 식품 서비스 사업 내 식물성 대체육 현황
나. 패스트푸드
다. 국내 카페 프랜차이즈
A) 스타벅스, 식물성 대체육 메뉴 소개
B) 투썸 플레이스, 글로벌 브랜드와의 제휴를 통해 식물성 대체육 푸드 출시
라. 비건 레스토랑
A) 농심 포리스트 키친(Forest Kitchen)
B) 풀무원 플랜튜드(Plantude)
C) 신세계푸드 더베러(The Better)
D) 채식 전문 레스토랑 또한 국제, 퓨전요리에서 영감을 얻은 식물성 기반 메뉴 판매
4) 대체유 및 대체발효유 산업과 연구동향
(1) 대체유 연구 동향 분석
가. 대체유의 정의
나. 대체유의 분류
A) 아몬드 대체유
B) 귀리 대체유
C) 코코넛 대체유
D) 코코아 대체유
E) 햄프씨드 대체유
F) 쌀 대체유
G) 두유
다. 대체유의 제조 기술
라. 대체유에 대한 소비자 인식
(2) 발효대체유의 연구 동향 분석
가. 발효대체유의 정의
나. 발효대체유의 분류
다. 발효대체유의 제조 기술
A) 제조 공정
B) 제조 방법 및 기술
라. 제조 기술의 기대 효과
(3) 대체유 및 대체발효유의 시장 분석
가. 배경
나. 대체유 시장 규모
A) 전 세계 대체유 시장 규모
B) 국내 대체유 시장 규모
다. 발효대체유 시장 규모
(4) 대체유 및 대체발효유의 산업 동향 분석
가. 대체유의 제품과 기술
A) 국내 대체유의 제품과 기술
B) 해외 대체유의 제품과 기술
나. 발효대체유 제품과 기술
A) 국내 발효대체유의 제품과 기술
B) 해외 발효대체유의 제품과 기술
2. 맞춤형 특수식품 연구개발 동향과 산업현황
1) 고령친화식품 주요동향
(1)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이해
가. 고령친화식품 개념
나. 고령친화식품 등장 배경
(2) 고령친화식품 산업
가. 해외
나. 국내
(3) 고령친화식품 제품·서비스
가. 해외
A) 일본
B) 미국
C) 유럽
나. 국내
2) 케어식품/메디푸드 주요동향
(1) 케어식품/메디푸드 개념
(2)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3) 기술개발 동향
가. 영유아 식품
A) 사용의 편리성을 강조한 이유식 제품
B) 영유아용 간식/반찬 제품 출시
C) 슈퍼 푸드, 유기농 식재료를 이용한 프리미엄 이유식 제품 출시
D) 다양한 기능의 이유식 마스터기 출시
나. 노인용 건강관리 식품
다. 체중조절(다이어트)식품
A) 체중조절식품 주요 제품
B) 체중조절 식품 제형의 다양화
C) 맛과 영양은 유지한 저칼로리, 저지방 제품의 확산
라. 임신·수유부 식품
(4) 생태계 기술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3) DTC(Direct-to-Consumer) 유전자 검사 기반 개인 맞춤형 식품
(1) 개인 맞춤형 식품 관련 개념
(2)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가. 국외 연구개발 동향
나. 국내 연구개발 동향
(3) 국내외 산업동향
가. 국외 산업동향
나. 국내 산업동향
3. 건강기능식품 주요동향
1) 건강기능식품 최신이슈
2) 건강기능식품 관련 정책 및 제도
3) 건강기능식품의 시장 동향
4) 건강기능식품의 기술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가. 맞춤형 건강기능성 식품
나. 기능성 소재
A) 원천소재 개발
B) 건강기능성 식품 제형의 다양화
C) 질환예방 제품 및 서비스의 수요 증가
(2) 관련 기업 기술동향
가. 해외 기업 동향
나. 국내 기업 동향
Ⅲ편 최신 화장품 R&D 트렌드와 K-Beauty 성장
제 1장 K-뷰티 현황과 최신트렌드 -뷰티 테크/맞춤형 화장품-
1. 국가별 화장품 트렌드와 K-뷰티(Beauty) 진출현황
1) 중동
(1) 스킨케어 제품 트렌드
(2) 메이크업 제품 트렌드
(3) 향수 트렌드
(4) 신규 브랜드 진출 위한 시사점
2) 중남미
(1) 칠레
가. 코로나19로 스킨케어 제품 수요 증가세
나. ‘크루얼티 프리(cruelty-free)’
다. 피어나는 K-Beauty, 입술화장용 제품과 스킨케어 제품이 성장세
라. 진출 위한 시사점
(2) 페루
가. 페루 화장품 수입 동향
나. 화장품 유형별 트렌드
다. 지속 가능한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라. 진출 위한 시사점
(3) 브라질
가. 마스크 의무 착용 폐지 이후 색조 화장품 판매 증가
나. 브라질 화장품 업체의 시장 전망
다. 진출 위한 시사점
3) 아프리카
(1) 남아프리카 공화국
가. K-Beauty 유통망 : 온라인 쇼핑몰(오프라인 연계)
나. K-Beauty 유통망 : 대형 유통망
다. 진출 위한 시사점
(2) 모로코
가. 모로코 화장품 시장규모
나. 온라인 판매 비중이 더 높은 모로코 화장품 시장
다. 10년만에 모로코 시장에서 괄목한 성장세 보이는 한국화장품
라. 진출 위한 시사점
(3) 모잠비크
가. 스킨케어
나. 향수
다. 헤어케어
라. 기타 미용 제품
마. 주요 수입국 및 對한국 수입 동향
바. 진출 위한 시사점
(4) 탄자니아
가. 시장 동향
나. 경쟁 동향 및 유통 구조
(5) 케냐
가. 케냐 기초 화장품 시장 트렌드
나. 경쟁국가 및 제품 동향
다. 한국제품 수입 동향
라. 진출 위한 시사점
4) 유럽
(1) 영국
가. 시장규모 및 동향
나. 최근 3년간 수입동향
다.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 기업
라. 진출 위한 시사점
(2) 독일
가. 천연 화장품 시장 동향
나. 수출입동향
다. 경쟁 동향
라. 유통구조
마. 진출 위한 시사점
5) 미국
(1) 미국 시장내 K-뷰티, 순항 중
(2) K-뷰티 장기적인 성장 위한 브랜딩 작업 필수
(3) 진출 위한 시사점
6) 아시아
(1) 일본
가. 일본의 화장품 유통 시장 소비자 동향
나. 일본의 화장품 수출입 동향
다. 일본 화장품 판매채널
라. 일본 진출기업 동향 및 시사점
(2) 인도
가. 시장 동향
나. 인도 스킨케어 제품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다. 경쟁 동향
라. 진출 위한 시사점
7) K-뷰티의 맞춤형 수출 증대 방안
(1) 블루오션 시장 ‘블랙 뷰티’
가. K-뷰티가 배제하는 신체
나. 유색인종의 스킨케어
(2) 중국과 동남아 지역의 화장품 문화 동향
가. 코스메슈티컬의 등장
나. 할랄 화장품의 대중화
2. 4차 산업혁명시대의 K-뷰티 발전방안과 ‘뷰티테크(Beauty-Tech)’
1) 4차 산업혁명과 K-뷰티산업 발전방안
(1) K-뷰티산업 현황
(2) 4차 산업혁명과 뷰티산업
(3) 4차 산업혁명시대의 K뷰티산업 발전 방안
가. VR, AR 등 기술 혁신으로 맞춤형 뷰티프레임으로의 전환
나.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을 통한 소비자 니즈 파악
다. 로컬화 전략의 필요
라. 뷰티헬스산업의 융복합 준비 필요
2) 이미지 기반 AI 피부 컬러 측정 기술 및 서비스 연구
(1) 연구 배경
(2) 시스템 설계
가. 설계 개요
나. 퍼스널 컬러 엔진의 권장 촬영 가이드
다. 피부 컬러 검출 방법
라. 제품의 컬러 검출 방법
마. 고객에게 최적의 제품 추천하는 방법
바. 퍼스널 컬러 엔진의 성능 평가
사. 퍼스널 컬러 엔진 이용을 위한 제품 정보 세팅
(3) 실험 및 결과
가. 모바일 화면 설계
나. 결과 및 지표
(4) 결론
3) 메타버스를 이용한 뷰티 브랜드 경험 사례
(1) 연구 배경
(2) 연구 방법
(3) 연구 내용
가. SK-Ⅱ의 가상세계 마케팅
나. Christan Dior의 가상세계 마케팅
다. Loreal의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
라. Sephora의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
마. Laneige의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
(4) 결과 및 논의
4) 피부 미용기기(뷰티 디바이스) 산업동향
(1)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 동향
(2) 코로나19 종식에도 성장하는 홈 뷰티 디바이스 시장
(3) 피부 미용기기 수출현황
가. 피부 미용기기 국가별 수출액 현황
나. 피부 미용기기 국가별 수입액 현황
3. 글로벌 맞춤형 화장품 산업현황과 서비스 분석
1) 맞춤형 화장품의 개념과 부상배경
(1) 맞춤형 화장품
(2) 글로벌 맞춤형 화장품의 성장배경
2) 글로벌 맞춤형 화장품 시장 및 제도 현황
(1) 글로벌 맞춤형 화장품 시장 현황
가. 국내
나. 해외
(2) 국내 맞춤형 화장품 온‧오프라인 서비스 분석
가. 맞춤형 화장품 오프라인 서비스 분석
A) 아이오페 랩(IOPE LAB)
B) 에뛰드 파운데이션 팩토리(ETUDE Foundation Factory)
C) CNP 차앤박 화장품 르메디 바이 씨앤피(ReMede by CNP)
나. 맞춤형 화장품 온라인 서비스 분석
A) 르네오(reneo)
B) 톤 28(Toun 28)
C) 블렌드 온(BLEND OWN)
다. 맞춤형 화장품 서비스 특성
(3) 글로벌 맞춤형 화장품 규정 및 제도 현황
가. 국내
나. 해외
(4) 맞춤형 화장품 비즈니스 유형과 가이드라인
가. 비즈니스 유형
나. 맞춤형화장품 비즈니스 가이드라인
제 2장 클린 뷰티 산업 현황과 화장품 안전‧유효성 평가연구
1. 클린뷰티(Clean Beauty) 트렌드와 산업현황
1) 클린뷰티 배경과 이슈
(1) 클린뷰티의 역사
(2) 클린뷰티의 개념
2) 국내외 클린뷰티 제품의 특징과 현황
(1) 유해성분 배제
(2) EWG, 저자극
(3) 크루얼티 프리, 비건
(4) 지속가능한 원료 및 포장재
3) 클린뷰티 및 인증에 대한 오해
(1) 클린뷰티의 오해와 그린워싱
(2) 클린뷰티 관련 인증에 대한 문제
4) 글로벌 클린뷰티 화장품 동향 및 진출전략
(1) 클린뷰티 시장규모와 전망
(2) 미국 클린 뷰티 동향
(3) 영국 클린 뷰티 동향
(4) 이탈리아 클린 뷰티 동향
(5) 독일 클린 뷰티 동향
(6) 폴란드 클린 뷰티 동향
(7) 호주 클린 뷰티 동향
(8) 글로벌 ‘클린뷰티’ 시장 진출전략
가. 진출전략
나. SWOT 분석
5) 비건 뷰티산업과 비건 화장품 현황
(1) 비건 화장품
(2) 비건 인증 마크
가. 뉴욕주 동물실험 화장품 판매 금지법 시행
나. 동물실험 화장품 퇴출 분위기 확산
(3) 비건 뷰티의 현황
(4) 비건 뷰티의 제품과 브랜드
가. 비건 뷰티의 지역별 분류
나. 비건 뷰티의 분야별 제품 분류
다. 비건 뷰티 메이크업 제품
A) CHANTECAILLE(샹테카이)
B) DEAR DAHLIA(디어 달리아)
C) HOURGLASS(아워글래스)
라. 비건 뷰티 피부 제품
A) LUSH(러쉬)
B) AROMATICA(Croatia)
C) THE BODY SHOP(더바디샵)
마. 비건 뷰티 헤어 제품
A) 와칸
바. 비건 뷰티 네일 제품
A) 코스맥스
2. 뷰티 제품 및 원료의 안전성 평가와 대체연구 동향
1) 뷰티 제품 안전성 평가와 서비스 시장현황
(1) 화장품 완제품 및 원료 평가 서비스 시장
가. 화장품 평가 서비스 시장 종류
나. 평가 서비스의 활용 및 현황
(2) 화장품법 제·개정에 따라 부각된 인체적용시험
(3) 변화하는 환경에서 성장하는 평가 서비스 시장
2) 동물실험대체법 관련 연구 동향
(1) 3D 인공 피부모델을 이용한 화장품 안전성 및 효능 평가 연구
가. 연구 배경
나. 화장품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동물대체시험법 가이드라인 및 최신 연구동향
다. 3D 인공피부모델을 이용한 피부 부식성 평가
라. 3D 인공피부모델을 이용한 피부 자극성 평가
마. 3D 인공피부모델을 이용한 피부 광독성 평가
바. 3D 인공피부모델을 이용한 동물대체시험법의 한계점 및 개선 방향
사. 3D 인공피부모델을 이용한 화장품 효능 평가 연구 현황
아. 3D 인공피부모델을 이용한 피부 장벽/보습 제품의 유효성 평가
자. 3D 인공피부모델을 이용한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제품의 유효 평가
차. 3D 인공피부모델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효능 평가의 한계점 및 개선 방향
(2) 미백 기능성 화장품 원료의 유효성 평가를 위한 In Vitro 색소화피부모델 개발
가. 연구 배경
나. 재료 및 방법
A) 재료 및 시약
B)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평가(Tyrosinase Inhibition Assay)
C) 멜라닌 생성 저해능 평가
D) 2D 세포 배양 및 3D 시험모델
E) 시험물질 처치
F) 형광염색
G) Fontana-Masson 염색
H) 조직 병리 분석
I) 통계방법
다. 결과 및 고찰
A) 타이로시나아제 저해평가와 B16F10 마우스 Melanoma 세포주에서 멜라닌 함유량분석
B) 인간 유래 케라틴세포와 멜라닌세포의 2D 공배양 시스템에서 미백 활성물질 효능평가
C) 색소화피부모델(KeraSkin-MTM)
D) 색소화피부모델(KeraSkin-M™)을 이용한 미백효능평가
제 3장 기능성 화장품 연구 동향과 제품 개발 현황
1. 기능성 화장품 시장 및 경쟁현황
1) 기능성 화장품
2) 기능성 화장품 시장 동향
(1) 시장 규모 및 전망
(2) 기업별 경쟁 현황
가. 해외
나. 국내
A) 아모레퍼시픽
B) LG생활건강
C) 코스메카코리아
D) 클리오
E) 네오팜
F) 유씨엘
G) 바이오에프디엔씨
H) 케어젠
I) 더스킨팩토리
2. 기능성 화장품 소재개발과 연구동향
1) 주름 개선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개발 연구동향
(1) 이론적 배경 및 연구내용
가. 주름 개선 기능성 화장품
나. 주름 개선화장품 연구내용
(2) 연구 동향 연구내용
가.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나. 금전초
다. 톱니모자반 추출물(Sargassum serratifolium)
라. 양하(Zingiber mioga) 추출물
마. 산돌배(Pyrus ussuriensis)
바. 괭이밥과 추출물
사. Charmzone Extract(CZE)
A) 활성산소(active oxygen)
B) Matrix metallo proteinase
2) 비건 인증 화장품 원료 7종 혼합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미백효과 연구
(1) 연구 배경
(2) 실험 방법
가. 추출물
나. DPPH 라디컬 소거능 측정
다. ABTS 라디컬 소거능 측정
라. FRAP 측정
마. 폴리페놀 함량 분석
바.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사. 세포 배양
아. 세포 독성 측정
자. 멜라닌 생성 측정
(3) 결과 및 고찰
가. DPPH 라디컬 소거능
나. ABTS 라디컬 소거능
다. FRAP &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라. 세포 독성
마. 미백 활성
(4) 결론
3) 2023년 기능성화장품 심사 현황
3. 탈모화장품 산업동향과 염모제 안전성 관련 이슈현황
1) 탈모화장품 산업과 개발현황
(1) 개요
(2) 국내외 시장동향
가. 해외시장
A) PANTENE
B) P&G
C) 웰라(WELLA)
D) 로레알(L’Oreal)
E) 시세이도(Shiseido)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제품동향
가. 미국
나. 중국
다. 일본
라. 브라질
마. 국내
A) 아모레퍼시픽
B) LG생활건강
C) TS트릴리온
D) 애경산업
E) 한국콜마
F) 와이어트(하시스)
G) 에이치케이이노엔
H) 메디포스트(셀로니아)
I) 신세계인터내셔날
J) 피플앤코
K) 아모스프로페셔널
L) 코스맥스
M) 현대약품
N) 동화약품
O) 아이엘사이언스
P) 두리화장품
Q) 피토스
R) 바이오스펙트럼
S) 스와니코코(브레인콘텐츠)
T) 하이모
2) 염모용 화장품 현황과 안전관리 이슈
(1) 국내 염모제 사용현황
(2) 안전 관련이슈 및 염모제 안전실태
가. 1,2,4-trihydroxybenzene
(3) 염모제 안전관리 현황
(4) 식약처, 염모제 9개 성분 안전관리 강화
4. 천연화장품의 동향과 신소재 발굴 전략
1) 천연화장품의 개요와 연구범위
(1) 기술융복합, 친환경, 지속가능성의 글로벌 트렌드와 천연화장품
(2) 국가마다 다른 천연화장품의 정의와 기준
(3) 천연물 중심 기능성화장품의 종류와 범위
(4) 천연화장품 관련 바이오화장품, 한방화장품
2) 천연화장품 산업 및 소재개발 트렌드
(1) 산업 전망
(2) 정부의 ‘K-뷰티 혁신 종합전략
(3) 선택적 효능의 기능성 소재 발굴
가. 천연유래 바이오소재 화장품산업 성장
나. 친환경, 지속가능 가치가 투영된 소재 개발
다. 첨단바이오 기술·소재가 접목된 천연화장품
라. 발효공정과 생물전환기술의 발전
마. 줄기세포 및 엑소좀 활용 천연(바이오)화장품의 진전
바. 안티폴루션 화장품의 사업기회 확대
사. 천연소재 기능모사 화장품, 나노화장품 개발도 활발
아. 맞춤형, 융복합기술의 미래화장품으로 패러다임 변화
5. 고기능성 화장품 원료 ‘엑소좀’ 최근 동향
1) 엑소좀에 대한 이해
(1) 엑소좀 개념
(2) 활용분야
2) 엑소좀 산업 동향
(1) 글로벌
(2) 국내
3) 엑소좀 제품·서비스 동향
(1) 해외
(2) 국내
4) 엑소좀 활용 스킨부스터(Skin Booster)
도표/그림 목차
https://www.techforum.co.kr/shop_goods/goods_view.htm?category=01020800&goods_idx=28481
'신간 리포트 > 헬스케어 | 푸드 | 뷰티 | 의료 | 바이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첨단 미래산업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시장 현황과 미래 전망 (0) | 2024.04.23 |
---|---|
2024 고령화로 주목받는 고령친화산업(의약품/의료기기/식품/화장품/용품)별 시장동향과 사업전망 (0) | 2024.03.18 |
2024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및 기술 동향과 주요국·기업별 대응 전략 (0) | 2024.02.19 |
2024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제품현황 및 의료기기 시장동향 (0) | 2024.02.05 |
2024 바이오산업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전망 (Ⅱ) (0) | 2024.0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