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도서구매:
제조사: 데이코인텔리전스
규격: 664쪽 (A4)
ISBN: 9791190816212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contact@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techforum.co.kr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국제적인 노력이 더욱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2030년까지 전체 신차 판매의 60%를 무공해 차량으로 채워야 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에 기존의 내연기관차는 빠르게 배터리 기반의 순수 전기차(BEV)나 수소차(FCEV) 등 무공해 차량으로 전환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미 2021년 글로벌 완성차 판매량이 전년 대비 4% 증가하는데 그친 반면, 전기차는 472만 대가 판매되며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112% 성장이라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주면서 무공해 차량으로의 전환이라는 이러한 대세를 통계로 보여준바 있다.
이에 따라 그동안 본격적인 전기차로의 전환을 주저해온 전통적인 글로벌 완성차(OEM) 기업도 2025년 또는, 2030년을 목표로 전용 전기차 플랫폼 개발을 끝내고, 전동화 로드맵을 제시하는 등 본격 대응에 나섰으며, 미국의 애플, 일본의 소니, 중국의 샤오미, 대만의 폭스콘 등 글로벌 IT기업도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등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 주목하고 시장진출을 선언하거나 사업을 본격화 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소차 또한, 전 세계적인 수소경제로의 에너지 전환을 위한 투자 확대로 보급이 본격화하고 있는바, Marklines은 2021~2030년 글로벌 수소자동차 시장이 연평균 57%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특히 BloombergNEF는 2025년 글로벌 수소자동차 판매량 3.4만 대 중 한국과 일본이 전체 판매량의 6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는 등 일본과 더불어 수소차의 양강을 이루고 있는 우리나라에게 커다란 사업기회가 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전기, 수소차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관련 사업에 대한 투자와 사업참여도 활발해지고 있으며, 특히 전기, 수소차 충전 인프라 구축과 보급도 주요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활성화되고 있으며, 민간 기업의 참여도 증가하면서 생태계 구축이 활기를 보이고 있다.
전기, 수소차 시대의 도래는 다양한 관련 기술과 서비스의 등장을 통한 뉴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배터리 진단 및 구독·교체 서비스와 결제·과금 등 다양한 형태의 충전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 등이 대표적이지만, 특히 데이터 경제시대로의 전환 시점과 스마트 모빌리티의 등장과 맞물리면서 시장선점을 위한 기업의 참여가 두드러지고 있다.
전통적인 주유소의 모습에서 탈피하여 융복합 스테이션으로 변모하는 미래형 충전인프라는 전기, 수소차를 뛰어 넘는 모빌리티와 라이프를 아우르는 생활 인프라로 성장해 갈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전기차 배터리로서 수명을 다한 배터리를 회수하여 재사용·재처리 하는 폐배터리 관련 시장도 수익성이 클 것으로 분석되면서 업계의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당사는 본서에서 국내외 전기차와 수소차 관련 시장의 최근 동향과 함께 선진 주요국 정부의 전기차, 수소차 관련 산업 육성 정책과 특히, 전기차와 수소차의 충전 인프라 보급 및 확대를 위한 정책과 시장 동향, 연구개발 등 기술 동향, 주요 기업의 사업전략 등을 조사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모쪼록 본서가 전기차와 수소차 관련 비즈니스, 특히 충전인프라 관련 사업을 준비하거나 관심을 갖고 계신 모든 분들께 하나의 참고 자료로서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Ⅰ. 국내외 전기차(BEV, FCEV) 시장 동향 및 전망
1. 무공해, 친환경, 전기차(BEV, FCEV) 개발 동향 및 전망
1-1. 미래자동차의 핵심 키워드, 친환경차
1)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
2) 미래차 산업의 성장과 산업 특성 및 동향
3) 주요국 친환경차 신산업 선점경쟁과 공급망 리스크
1-2. 전기자동차 개요 및 산업 동향
1) 전기차 분류 및 특징
(1) 순수 전기차(Battery Electric Vehicle·BEV 혹은 EV)
(2) 수소연료전지차(Fuel Cell Electric Vehicle·FCEV)
(3) 하이브리드차(Hybrid Electric Vehicle·HEV)
(4)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PHEV)
2) 전기차 주행거리 및 충전시간 단축 경쟁
(1) 전기차 주행거리 현황
(2) 전기차 충전시간 현황
3)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동향과 전망
(1)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 현황 및 전망
(2) 국내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 현황 및 전망
(3) 전기차 배터리 주요 업체 및 점유율 현황
(4) 전기차용 폐배터리 시장 동향 및 정책 동향
1-3. 수소자동차 개요 및 산업 동향
1) 수소자동차 정의 및 특징
2) 수송부문 수소자동차 역할과 밸류체인
(1) 수송부문 수소자동차 역할
(2) 수소자동차 가치사슬
3) 수소차용 연료전지 시장동향과 전망
(1) 연료전지 개요
(2) 글로벌 연료전지 시장 전망
(3) 국내 연료전지 시장 전망
(4) 차세대 연료전지 개발동향
2. 국내외 전기차 시장 동향 및 전망
2-1. 국내외 전기차 시장 동향 및 전망
1) 글로벌 전기차 시장 동향 및 전망
(1) 글로벌 전체 전기차 시장 규모 및 전망
(2) 글로벌 세부항목별 전기차 시장 규모 및 전망
2) 국내 전기차 시장 동향 및 전망
(1) 국내 전기차 시장전망
(2) 추진 종류별 시장전망
2-2. 주요국별 전기차 시장 및 정책 동향
1) 미국
(1) 미국 전기차 시장 동향
(2) 미국 전기차 정책 동향
2) EU
(1) EU 전기차 시장 동향
(2) EU 전기차 정책 동향
3) 중국
(1) 중국 전기차 시장 동향
(2) 중국 전기차 정책 동향
4) 일본
(1) 일본 전기차 시장 동향
(2) 일본 전기차 정책 동향
3. 국내외 수소차 시장 동향 및 전망
3-1. 국내외 수소차 시장 동향 및 전망
1) 글로벌 수소자동차 시장 현황 및 전망
(1) 전 세계 수소자동차 시장 현황과 전망
(2) 주요 선도국 수소자동차 산업 동향
2) 국내 수소자동차 시장 현황 및 전망
(1) 국내 수소자동차 시장 현황과 전망
(2) 국내 수소자동차 선도기업 동향
3-2. 주요국별 수소자동차 시장 및 정책 동향
1) 미국
(1) 미국 수소자동차 시장 동향
(2) 미국 수소자동차 관련 정책 동향
2) EU 주요국(독일, 영국, 프랑스)
(1) 독일
(2) 영국
(3) 프랑스
3) 중국
(1) 중국 수소자동차 시장 동향
(2) 중국 수소자동차 관련 정책 동향
4) 일본
(1) 일본 수소자동차 시장 동향
(2) 일본 수소자동차 관련 정책 동향
4. 융복합 EV충전인프라 사업 동향 및 전망
4-1. EV충전인프라 관련 최근 이슈 및 동향
1) 대기업 중심 시장 재편
(1) 국내, 대기업 진출 본격화
(2) 아서디리틀(Arthur D Little), 대기업중심 재편 예견보고서
2) 미국 충전인프라 업계의 수익사업 전략
(1) 신생 충전 인프라 전문기업 동향
(2) 자동차 기업의 대응 동향
(3) 정유업계의 대응 동향
3) 국내, 전기차 충전시설 의무설치 제도 강화
(1) 전기차 충전시설 의무설치 대상이 확대
(2) 공공이 소유한 충전시설 개방
(3) 수소충전소 구축 지원 확대
(4) 주유소·LPG충전소의 미래차 복합스테이션 전환 구상
4) 국내기업의 M&A, 해외진출 확대
(1) SK E&S, 미국의 에버차지(EverCharge) 인수
(2) 시그넷이브이·대영채비·중앙제어 등 충전기업체 미국 시장 공략
(3) 대영채비㈜, 일본진출
5) 충전서비스 유형의 다양화
(1) 태양광 활용 융복합충전소
(2) 스마트 가로등 이용 충전소
(3) 전기차 이동충전, 충전 구독 서비스
6) 폐배터리이용, ESS-V2G 양방향 전기차 충·방전 서비스 실증
4-2. 국내 정유, 가스(LPG) 기업 대응 동향 및 전략
1) SK에너지
(1) 소프트베리, ‘이브이 인프라’(EV Infra)와 제휴
(2) 보유 주요소 매각후 전기차 충전소사업에 재투자
(3) 한전(차지링크)과 충전서비스 사업 협력
(4) 1호 신재생연계 ‘에너지 슈퍼스테이션’ 개소
2) GS칼텍스
(1) GS칼텍스, 미래형 주요소 ‘에너지 플러스허브’
(2) 전기차 충전 모바일 앱, ‘에너지플러스(energy plus) EV’
(3) 기아차와 전기차 초급속충전 인프라 협업
3) 현대오일뱅크
(1) 주요소 이용 충전사업 확대
(2) 영문 'EVBANK'와 'EVPARK' 특허출원으로 사업 강화 준비
4) 에쓰오일(S-Oil)
(1) '미래형 복합 에너지스테이션'으로 2021년 전기차 충전사업 진출
5) SK가스
(1) SK가스, 수소 사업모델
(2) 수소복합충전소, ‘에코스테이션’
(3) 환경부와 도심형 수소충전소구축 협약
6) E1
(1) LPG 충전소에 ESS 연계한 전기차 충전 시설 구축
5. 국내 주요 전기, 수소차 관련 정책 최근 동향
5-1. 제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2021-2025)
1) 목표 및 추진전략
2) 친환경차 확산을 가속화하는 사회시스템 구축
(1) 친환경차 확산을 통해 30년까지 자동차 온실가스 24% 감축
(2) 전기·수소차 충전시설을 적시·적소 배치
(3) 내연기관차 수준의 경제성을 조기에 확보
(4) 탄소 중립을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제도적 기반 구축
3) 기술혁신을 통해 탄소중립시대 개척
(1) 내연기관차 동등수준의 성능 확보 및 친환경차 수출 강국 도약
(2) 탄소중립시대를 개척하는 4대 「Challenge」 프로젝트 추진
4) 탄소중립 산업생태계로 전환 가속화
(1) 연대·협력을 통해 30년까지 1,000개의 부품기업을 미래차로 전환
(2) 미래차 분야 New-Player 집중 육성
5-2. 무공해차 보급확대 방안
1) 2022년 무공해차 보조금 정책
2) 무공해차 보급확대 방안
(1) 무공해차 대중화를 위한 보조금 체계 개편
(2) 국민 생활과 밀접한 무공해 상용차 보급 확대
(3) 편리한 무공해차 충전환경 조성
(4) 저공해차에서 무공해차 중심으로 보급제도 재편
Ⅱ. 전기차 충전 인프라 기술, 시장동향과 사업전망
1. 전기차 충전 인프라 개요
1-1. 전기차 충전 인프라 개요 및 가치사슬
1) 전기차 충전 인프라 개요
2) 전기차 충전소 가치사슬 및 주요 부문
(1) 전기차 충전소 가치사슬
(2) 전력공급 부문
(3) 충전소 하드웨어 부문
(4) 소프트웨어 부문
(5) 서비스 부문
1-2. 전기차 충전 방식 분류 및 기술 발전 동향
1) 전기차 충전 방식에 따른 분류
(1) 접촉식 충전 방식
(2) 무선 충전 방식
(3) 배터리 교환 방식
2) 전기차 충전소 유형
(1) 주거지역 기반의 충전 유형
(2) 차고지 기반의 충전 유형
(3) 도시 주요 시설 기반 충전 유형
(4) 도로 기반 충전 유형
3) 전기차 충전 기술 및 동향
(1) 전략변환장치 고밀도화
(2) 초고속 충전기(Hyper Chager, HPC) 개발 활기
4) 전기차 무선 충전 기술 동향
(1) 전기차 무선 충전 기술
(2) 전기차 무선 충전도로
(3) 전기차 무선 충전 상용화 이슈 및 국내 주요 특허출원 사례
1-3.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Battery as a Service, BaaS)
1)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개요
2)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의 종류
(1) 전기차 배터리 진단 및 구독 서비스
(2) 전기차 배터리 교체 서비스
(3) 전기차 배터리 충전·교체 서비스 최신 동향
(4) 완성차 업체의 전기차 폐배터리 회수 서비스· 활용 개발 동향
1-4. 미래 전기차 충전소 V2G와 가상발전소(VPP)
1) V2G(Vehicle to-Grid)
(1) V2G 개요
(2) V2G 구현을 위한 선결과제
(3) V2G 생태계
2) 가상발전소(Virtual Power Plant, VPP)
(1) VPP 개요
(2) VPP 구현을 위한 선결과제
(3) VPP 생태계
2. 국내외 전기차 충전 인프라 현황 및 전망
2-1. 국내외 전기차 충전인프라 현황 및 전망
1) 글로벌 전기차 충전인프라 현황 및 전망
2) 국내 전기차 충전인프라 현황 및 전망
(1) 국내 전기차 충전인프라 보급 현황
(2) 국내 전기차 충전인프라 보급 계획 및 정책
2-2. 주요국 전기차 충전인프라 현황 및 보급 정책
1) 미국
(1) 미국 전기차 충전인프라 보급 현황
(2) 미국 전기차 충전인프라 보급 계획 및 정책
2) 유럽
(1) EU
(2) 독일
(3) 프랑스
(4) 스웨덴
3) 아시아
(1) 중국
(2) 일본
(3) 인도
3. 전기차 충전 인프라 핵심 플레이어 사업 동향
3-1. 충전 인프라 전문업체 사업 동향
1) SK시그넷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2) 대영채비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3) 중앙제어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4) 차지비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5) 파워큐브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6) (미국)차지포인트(Charge Point)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7) (미국)에버차지(EverCharge)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8) (미국)EV고(EVgo)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9) (영국)쉘(Shell plc)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10) (독일)지멘스(Siemens)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11) (프랑스)토탈에너지스(TotalEnergies)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12) (독일)아이오니티(Ionity)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3-2. 완성차 업체(OEM) 사업 전략과 동향
1) 테슬라(Tesla)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2) 제네럴 모터스(General Motors, GM)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3) 포드(Ford)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4) 폭스바겐(Volkswagen)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5) 아우디(Audi)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6) 비엠더블유(BMW)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7) 메르세데스-벤츠그룹 AG(MERCEDES-BENZ AG)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8) 스텔란티스(Stellantis)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9)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Renault-Nissan-Mitsubishi)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10) 토요타(TOYOTA)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11) 혼다(Honda)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12) 지리자동차(GEELY)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13) 볼보(Volvo)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14) 현대자동차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15) 기아자동차
(1) 회사현황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전략
4. 전기차 충전 인프라 관련 기술 동향과 연구개발 테마
4-1. 전기차 충전 인프라 관련 특허 및 기술로드맵
1)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특허 동향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현황
(3) 주요 출원인 분석
2) 다목적 초소형 전기차 교체형 배터리시스템 특허 동향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현황
(3) 주요 출원인 분석
4-2. 전기차 충전 인프라 관련 중소기업형 기술개발 로드맵
1)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관련 기술개발 전략 로드맵
(1) 핵심 요소기술
(2) 기술로드맵
(3) 핵심 요소기술 연구목표
2) 다목적 초소형 전기차 교체형 배터리시스템 관련 기술개발 전략 로드맵
(1) 핵심 요소기술
(2) 기술로드맵
(3) 핵심 요소기술 연구목표
4-3. 전기차 충전 인프라 관련 기술 연구개발 테마
1) (총괄) 국제표준 기반 자동발렛주차 및 자동 유·무선 충전 융합서비스 개발
2) (1세부) 수요응답형 자동발렛주차 및 서비스 기술 개발
3) (2세부) 차량하부 충전방식 자동충전 및 관제 시스템 개발
4) 기계식 주차타워 복수 차량 동시 자동충전 시스템 개발 및 실증
5) 운전자 맞춤형 스마트 충전서비스 및 고효율 충전시스템 개발 및 실증
6) 전기자동차 배터리 활용 스테이션 구축 및 스마트 충·방전 시스템 개발 실증
Ⅲ. 수소차 충전 인프라 기술, 시장동향과 사업전망
1. 수소충전소 개요
1-1. 수소충전소 개요와 기술개발 동향
1) 수소충전소 종류 및 구조
2) 수소충전소 규격
(1) 수소연료공급시스템 일반 성능 규격
(2) 수소연료공급시스템 설비 성능 규격
3) 수소충전소 기술개발 동향
1-2. 수소의 생산·저장·운송·충전·활용
1) 수소 생산
(1) 수소 생산 개요
(2) 수소생산 핵심기술
(3) 수소 생산 동향
2) 수소 저장
(1) 수소 저장 개요
(2) 수소 저장 핵심기술
(3) 수소 저장 동향
3) 수소 운송
(1) 수소 운송 개요
(2) 수소 운송 핵심기술
(3) 수소 운송 동향
4) 수소 충전
(1) 수소 충전 개요
(2) 수소 충전 동향
5) 수소 활용
(1) 수소 활용 개요
(2) 수소 활용 동향
2. 국내외 수소충전소 보급 현황 및 전략
2-1. 국내외 수소충전소 구축 현황
1) 글로벌 수소충전소 구축 현황
2) 국내 수소충전소 구축 현황 및 전략
(1) 국내 수소충전소 구축 현황 및 목표
(2) 국내 수소충전소 구축 전략
2-2. 주요국 수소충전소 구축 현황 및 전략
1) 미국
2) 중국
3) 일본
4) 독일
5) 영국
6) 프랑스
7) 호주
3. 수소차 충전 인프라 핵심 플레이어 사업 동향
3-1. 해외 업체
1) (미국) Air Products
(1) 회사현황
(2) 수소자동차 관련 사업 동향
2) (영국) ITM Power
(1) 회사현황
(2) 수소자동차 관련 사업 동향
3) (프랑스) Air Liquide
(1) 회사현황
(2) 수소자동차 관련 사업 동향
4) (프랑스) Total Energies
(1) 회사현황
(2) 수소자동차 관련 사업 동향
5) (독일) Linde
(1) 회사현황
(2) 수소자동차 관련 사업 동향
6) (독일) Siemens
(1) 회사현황
(2) 수소자동차 관련 사업 동향
7) (일본) Asahi Kasei
(1) 회사현황
(2) 수소자동차 관련 사업 동향
8) (일본) Iwatani Corporation
(1) 회사현황
(2) 수소자동차 관련 사업 동향
3-2. 국내 업체
1) POSCO홀딩스
(1) 회사현황
(2) 수소자동차 관련 사업 동향
2) 한국가스공사
(1) 회사현황
(2) 수소 관련 사업 동향
3) 두산에너빌리티
(1) 회사현황
(2) 수소자동차 관련 사업 동향
4) 롯데케미칼
(1) 회사현황
(2) 수소자동차 관련 사업 동향
5) 한화솔루션
(1) 회사현황
(2) 수소자동차 관련 사업 동향
6) SK E&S
(1) 회사현황
(2) 수소자동차 관련 사업 동향
7) 효성중공업
(1) 회사현황
(2) 수소자동차 관련 사업 동향
8) 덕양
(1) 회사현황
(2) 수소 관련 사업 동향
9) 제이엔케이히터
(1) 회사현황
(2) 수소자동차 관련 사업 동향
10) 이엠코리아
(1) 회사현황
(2) 수소 관련 사업 동향
11) 엔케이에테르
(1) 회사현황
(2) 수소 관련 사업 동향
4. 수소차 충전 인프라 관련 기술 동향과 연구개발 테마
4-1. 수소차 충전 인프라 관련 특허 동향
1) 수소차 충전시스템 특허 동향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현황
(3) 주요 출원인 분석
2) 전력공급 및 저장시스템 특허 동향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현황
(3) 주요 출원인 분석
4-2. 수소차 충전 인프라 관련 중소기업형 기술개발 로드맵
1) 수소차 충전시스템 기술개발 로드맵
(1) 핵심 요소기술
(2) 기술로드맵
(3) 핵심 요소기술 연구목표
2) 전력공급 및 저장시스템 기술개발 로드맵
(1) 핵심 요소기술
(2) 기술로드맵
(3) 핵심 요소기술 연구목표
4-3. 수소차 충전 인프라 관련 기술 연구개발 테마
1) 수소충전소 설계 및 운전 안전성 검증 사전 진단프로그램 개발
2) 액화수소 충전소 구축 연계 안전성 평가/실증 및 안전기준 개발
3) 수소상용차용 수소저장용기 및 저장량 조절 제어기 개발
4) 액화수소 충전소용 저장탱크 및 수소공급시스템 기술개발
사업자 정보 표시
테크포럼(주) | 김서원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96 1206 | 사업자 등록번호 : 119-86-81577 | TEL : 070-7169-5396 | Mail : contact@techforum.co.kr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2014-서울금천-0056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신간 리포트 > 모빌리티 | 우주항공 | 로봇 |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능형시스템 정책 및 시장동향과 미래 모빌리티 관련 기술 연구동향 (0) | 2022.06.27 |
---|---|
2022년 도심항공모빌리티(UAM) 기술개발 및 산업 전망과 주요기업 사업전략 (0) | 2022.06.23 |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될, 맞춤형 인공지능ㆍ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혁신 기술 트렌드 및 향후 전망 (0) | 2022.05.19 |
의료, 헬스케어용 인공지능(AI) · 서비스로봇 기술개발 동향과 사업화 전략 (0) | 2022.05.13 |
2022 차세대 자동차 시장 동향과 유망 기술개발 및 기업 현황 (0) | 2022.05.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