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포럼은 ‘beyond technology’ 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모토로
국내/외 최신 기술 및 신성장 산업의 핵심 이슈와 동향을 분석하여 관련 업계 구성원들에게 정보와 소통의 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술 산업분야의 세미나, 컨퍼런스, 포럼을 기획/주최/주관 및 자료집/리포트 등을 제공 하고 있습니다.
자료집/리포트 구매 시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문의: contact@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techforum.co.kr
AI시대 산업별 데이터센터 인프라 구축과 사이버침해 보안기술 분석
제조사: 지식산업정보원
규격: 630쪽 (A4, 서적, PDF)
ISBN: 9791158622749
발간일: 2025-07-04
▶자세히보기
https://www.techforum.co.kr/shop_goods/goods_view.htm?category=01020800&goods_idx=31141
AI시대 산업별 데이터센터 인프라 구축과 사이버침해 보안기술 분석
[ 보고서 소개 ]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부상하면서 데이터센터가 ‘디지털 인프라의 심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24년 기준 국내 데이터센터는 72개에 달하며 `29년까지
www.techforum.co.kr
[ 보고서 소개 ]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부상하면서 데이터센터가 ‘디지털 인프라의 심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24년 기준 국내 데이터센터는 72개에 달하며 `29년까지 100개 이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전력 수요는 1.08GW에서 2.37GW로 2배 이상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서울 도심에서 데이터센터만으로 원전 두 기에 맞먹는 전력을 소비하는 수준이다. 이처럼 전력 소비 폭증과 발열, 환경 규제와의 충돌은 데이터센터가 넘어야 할 산업·정책의 과제이다. 특히, AI용 데이터센터는 기존 데이터센터보다 더 많은 전력이 필요하다. 과열로 인한 서버 성능 저하, 고장이 문제가 되면서 센터 관리기술 수요가 늘고 있다.
코히런트 마켓인사이트에 따르면 `25년 글로벌 데이터센터 냉각 시장규모는 142억 7000만 달러로 추산되며, `31년까지 연평균 12.7% 성장해 329억 1000만 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수도권 중심의 입지 전략은 계통 과부하와 입지 포화라는 한계에 봉착해있다. 이에 신규 센터 건립에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는데, 지방 지역에 신규 입지를 확보하는 움직임과 재생에너지 기반 PPA 도입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는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과 RE100 대응 정책을 통해 이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국내 시장도 신정부 출범 후, 대통령 1호 공약인 ‘AI 3대 강국’ 육성 전략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SK텔레콤에 이어 예스24에서도 해킹 피해가 나타나는 등 사이버 리스크가 확대되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인터넷진흥원에 신고된 침해사고 건수는 `24년 기준 1887건으로, 전년 대비 47.8%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디도스(DDoS) 공격이 285건, 악성코드가 229건, 서버해킹이 1057건 등이다. 글로벌 사이버보안 시장은 AI 확산과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라 `30년에는 약 6500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국내 보안 수요도 과거 공공 중심에서 민간 기업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기업들의 보안 솔루션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AI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데이터센터/사이버보안을 입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AI시대 산업별 데이터센터 인프라 구축과 사이버침해 보안기술 분석」을 발간하였다. 1편에서는 데이터센터의 고밀도전력/분산인프라/RE100/냉각혁신/네트워크/AI반도체 인프라 구축·관리 동향을 다루었고, 2편에서는 사이버 침해사고(해킹·피싱) 현황과 기술적/정책적 대응방안을 다루었다.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 목차 ]
제 Ⅰ편 데이터센터 구축전략
제 1장 데이터센터 산업현황 및 전력수요 변화 대응방안
1. 데이터센터 서비스 동향
1) 데이터센터(Data Center)
(1) 개요
(2) 데이터센터의 구성요소 및 유형
가. 구성요소
나. 유형
2) 데이터센터 현황
3) AI 시대 데이터센터 트렌드와 주요 이슈
(1) GPU 중심의 데이터센터
(2) GPU 클라우드 스타트업
(3) 전력 사용량 증가와 탄소 발자국 문제
(4) 탄소 발자국 문제
(5) 물 사용 증가
2. 데이터센터 전력수요 변화 동향 및 전력확보 대응
1) AI로 인한 전력 수요의 폭발적 증가와 대응방안
(1) AI 모델의 진화・확장과 전력 소비 급증
(2) 산업・기업 동향
(3) 정책 동향
가. 미국
나. 중국
다. EU(유럽연합)
2) 글로벌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 동향
(1) 데이터센터 전력 사용 현황
(2)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전망
(3)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 주요 원인과 추가 원인
3)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의 시나리오별 전망
(1) 기준 시나리오(Base Case)
(2) 급부상 시나리오(Lift-Off Case)
(3) 고효율 시나리오(High Efficiency Case)
(4) 역풍 시나리오(Headwinds Case)
4)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 증가 대응 방안
(1)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등 에너지 전환으로 에너지 효율성 제고
(2) 데이터센터 운영에 새로운 냉각 기술과 에너지 효율적인 IT 장비 등 신기술 도입
(3) 데이터센터 에너지사용 규제강화 및 지속가능한 에너지 사용 장려 인센티브 제공
5) AI 데이터센터 대응 정책과제
(1) 데이터센터 증설에 따른 전력·전력망 확충
가. 전력 수요 증가
나. 데이터센터의 변압기 용량 수요
다.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소비 효율
(2) 데이터센터 전기 공급 거부 문제
(3) 향후 정책 과제
가. 선제적 전력공급과 적절한 전원구성 검토
나. 전력공급 비용과 통신망 비용의 종합적 고려
다. 데이터센터의 효율화를 위한 지원 체계 구축
라. 지하(공동구) 개발 및 이용 활성화
3. 국가별 데이터센터 산업·시장 동향
1) 미국
(1) 미국 데이터센터 산업 성장 배경 및 현황
(2) 미국 데이터센터 건설 동향
(3) AI 데이터센터 밸류체인
(4) AI 데이터센터 관련 3대 이슈 및 기회요인
가. 데이터 처리 효율성
A) CXL(Compute Express Link)
B) PIM(Processing-In-Memory)
C) HBM(High Bandwidth Memory)
D) NPU(Neural Processing Unit)
E) NVMe-over-Fabrics(NVMe-oF)
F) 스마트 SSD(Solid State Drive)
G)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Software-Defined Networking)
H) 인공지능 운영(AIOps, Artificial Intelligence for IT Operations)
I) DPU(Data Processing Unit)
J) 스마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Smart NIC)
K) 광 트랜시버(Optical Transceiver)
나. 지속가능한 전력 공급과 에너지 효율적 운영
A) 변압기
B) 고압 송전선
C) 전력 변환 장치
D) 소형 모듈러 원자로(SMR)
E) 재생에너지 활용 데이터센터
F)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s) 활용
G) 연료 전지(Fuel Cells) 및 수소 에너지 활용
H) 하이브리드 모델
I) 마이크로 그리드(Microgrid) 구축
J) 데이터센터 위치 선정 최적화
다. 발열 통제 및 냉각 효율화
A) 열 통로/냉 통로 격리 방식(Hot Aisle/Cold Aisle Containment)
B) 수랭식 냉각 시스템(Liquid Cooling)
C) 액침 냉각(Immersion Cooling)
(5) AI 수요 급성장에 따른 미국 데이터센터 확장 동향 및 전망
가. 빅테크, AI 데이터센터향 자본지출 지속 증가세
나. 공급 대비 여전히 부족한 데이터센터 인프라
다. 텍사스주, 전력 수급 안정화를 위한 자체 발전소 건설 유도
2) 스페인
(1) 2021년을 기점으로 스페인 데이터센터 급성장
(2) 데이터센터를 둘러싼 스페인 전력 시스템의 명암
(3) 전망 및 시사점
3) 칠레
(1) 칠레 데이터센터 정책 동향 및 시장 현황
(2) 칠레의 주요 데이터센터
(3) 친환경 데이터센터 구축 사례
(4) 라틴아메리카 데이터센터 허브로서의 잠재력
(5) 대(對)칠레 데이터센터 해외직접투자 증가
(6) 데이터센터 구성요소 관련 수출 품목
(7) 데이터센터 관련 장비 관세율 및 인증 수입 규제
(8) 시사점
4) 말레이시아
(1) ASEAN 내 신흥 강자로 떠오르는 말레이시아
(2) 말레이시아의 데이터센터 유치 정책과 혜택
(3) 말레이시아 데이터센터 시장의 성장 요인
가. 말레이시아의 저렴한 전기 요금과 전략적 우위
나. 지리적 이점에 따른 전략적 우위 확보
(4) 빅테크 진출 가속화와 데이터센터 시장의 미래 과제
(5) 말레이시아 데이터센터의 미래와 한국 기업의 기회
5) 베트남
(1) 한국의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시장
(2) 베트남의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시장
(3) 데이터센터 산업과 공존 공생하는 클라우드 산업
(4) 베트남 데이터센터 정책 동향 및 시장 현황
(5) 데이터센터 구성요소 관련 수출 유망품목 및 협력분야
6) 일본
(1) 대도시에 집중된 일본의 데이터센터
(2) 데이터센터 지방분산 정책의 주요 내용
(3) 지방분산 실현을 위한 과제
(4) 시사점
7) 기타
(1) 슬로베니아
(2) 크로아티아
가. 데이터센터 시장 성장 가속화, 인공지능 및 클라우드 확산이 주요 동력
나. 데이터센터 에너지 소비 증가, 지속 가능한 솔루션 필요
제 2장 데이터센터 친환경에너지 인프라구축 및 입지 전략
1. 데이터센터의 친환경 산업 동향
1) 에너지 선순환
2) 친환경 에너지 활용
2. 분산에너지/소형모듈원전(SMR) 연계 데이터센터 에너지전환
1) 데이터센터 폐열 활용을 통한 에너지 효율화
(1) 데이터센터 폐열 활용 업무 협약 개요
(2) 해외 데이터센터 폐열 활용 사례
(3) 기타 폐열 활용 참고 사례
2) 데이터센터 에너지 수급 및 효율화와 분산에너지 테스트베드 구축
(1) 데이터센터 에너지 수급 및 효율화 방안 제시
가. 분산발전/분산형전원
나. 구성장비 단위 에너지효율화
다. 건물(데이터센터) 단위 에너지효율화
라. 데이터센터 산업의 에너지/온실가스(CO2) 흐름
(2) 국내, 분산에너지 테스트베드 구축 본격화
가. 신산업활성화형
나. 수요유치형
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개요
A) 특구 개요
B) 분산특구 유형 구분
(3)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과 데이터센터 미래 전략
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A) 분산에너지 및 분산에너지사업의 정의(제2조)
B) 분산에너지 설치의무제도(제13조~제15조)
C) 전력계통영향평가(제23조~제32조)
D)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제33조~제44조)
E) 지역별 전기요금(제45조)
나. 분산법 데이터센터 대응 방안
A) 수열 활용 전략
B) 수소연료전지 활용 방안
C) 태양광 활용 방안
다. 그 외 에너지 절감 기술 활용 방안
A) LNG 냉열
B) 프리쿨링
라. 시사점
A)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활용
B) 분산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 기술 활용
3) AI 데이터센터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원자력과 SMR(소형 모듈 원전)
(1) SMR(소형 모듈 원전)
가. 태동 단계인 SMR
나. 1세대~4세대 원전
(2) 빅테크와 데이터센터
가. 빅테크의 원자력 & SMR 투자 증가
나. 빅테크의 원전 선호 이유
다. 구글의 SMR 전력 구매 계약
A) 구글과 카이로스파워 간의 계약 내용
B) 전력 공급 계획과 기대 효과
라. SMR의 경제적 및 환경적 영향
A) SMR이 제공하는 청정 에너지의 장점
B) 원자력 에너지의 지속 가능성과 기업의 탄소 중립 목표
C) AI 데이터센터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SMR의 역할
3.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완화 대응방안과 사례분석
1) 데이터센터의 건축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1) 입지적 관점
(2) 건물 관점
가. 배치 형태
나. 규모(연면적, 높이)
다. 용도
라. 지역지구
(3) 공공성 관점
(4) 에너지 관점
(5) 지역갈등 관점
2)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완화 방안
(1) 데이터센터 현황 및 문제점
가. 현황
나.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시 문제점
다. 데이터센터 전력공급 관련 제도 및 문제점
(2)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완화 방안
가. 계통포화지역 데이터센터 입지 제한 강화
나. 데이터센터 지역분산 유도 방안
A) 지역의 전력수급 여건과 데이터센터 입지 연계방안
B) 데이터센터 지역 입지 인센티브 제공
다. 데이터센터 지역분산 인프라 보완
(3) 향후 계획 및 관계부처 협조 사항
가. 향후 계획
나. 관계부처 협조 사항
3)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데이터센터의 지방 유인 방안 검토
(1) 데이터센터 개요
(2) 입지 요건별 국내 데이터센터 운영 현황분석
가. 전력 부문
나. 비전력 부문
다. 분석 소결
(3) 입지 요건별 해외 데이터센터의 지방 유인 관련 사례 분석
가. 전력 부문
나. 비전력 부문
다. 분석 소결
(4) 결론 및 시사점
가. 결론
나. 시사점
4) 상업용 데이터센터의 비수도권 분산을 위한 입지요인 탐색적 연구
(1) 서론
(2) 상업용 데이터센터의 입지 특성 분석
가. 자료 구축과 분석 방법
나. 분석 결과
A) 전력
B) 광케이블 및 해저케이블
C) 광역버스정류장, 버스터미널 및 고속도로IC
D) 지하철역 및 기차역
E) 토지비용(지가)
F) 데이터센터 종사자
G) 데이터센터 입지의 지역특성분석
다. 종합 평가
라. 결론
5) 수중 데이터센터 구축 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
(1) 서론
(2) 연구방법론 ‘산업연관표의 구조’
(3) 분석 자료
(4) 분석결과
가. 유발계수의 도출
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5) 결론
6) 폐광지역발전을 위한 폐광산 활용방안 : 지하 데이터센터 운용성 평가연구
(1) 폐광산의 지역발전을 위한 활용방안 : 데이터센터
(2) 폐광산 내 지하 데이터센터 해외 운용사례 및 운용기술의 국내 활용성 검토
가. 해외 지하 데이터센터 설치 사례
A) 노르웨이 Lefdal 광산 데이터센터
B) 미국 Bluebird 지하 데이터센터
C) 미국 LightEdge 지하 데이터센터
나. 지하 데이터센터 운용을 위한 기술
A) 외기냉방
B) 열교환기를 통한 수냉방
C) 소수력발전
D) 지열발전
(3) 폐광산의 지하 데이터센터 설치 공간으로서의 활용에 대한 기대효과
가. 탄소 저감 효과
나. 보안성 증가 효과
다. 수도권 밀집 해소
(4) 결론
제 3장 데이터센터 RE100 탄소중립 동향과 운영효율
1. 데이터센터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사례 분석
1) 데이터센터 기술 트렌드
(1) 데이터센터 가용성 및 전력사용효율지수(PUE)
(2) 데이터센터 트렌드
가.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증가
나. 데이터센터 집적도 증가
다. 재생에너지 이용 증가
라. 넷-제로 데이터센터 등장
(3) 데이터센터 기술 개발 동향
2) 디지털 분야 탄소중립의 필요성과 탄소 배출 대응사례
(1) 디지털 분야 탄소중립의 필요성
가. 대두되는 글로벌 현안
나. ICT 부문의 주요 탄소 배출원
다.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 기준 : 온실가스 프로토콜(GHG Protocol)
(2) 디지털 분야에서의 탄소 배출
가. 단말 분야
A) ICT 단말기 시장 전망
B) 스마트폰 제조 및 보급으로 인한 탄소 배출 현황
C) 태블릿 제조 및 보급으로 인한 탄소 배출 현황
D)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조 및 보급으로 의한 탄소 배출 현황
E) PC(데스크톱, 노트북) 제조 및 보급에 의한 탄소 배출 현황
F) 단말기 시장 전체의 탄소배출 수준 비교
나. 데이터센터 분야
A)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수요 및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B) 클라우드 컴퓨팅 운영으로 인한 탄소 배출 현황
C) 디지털 콘텐츠 소비로 인한 탄소 배출 현황
D)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다. 네트워크 분야
A) 넓어지는 네트워크, 성장하는 통신 산업
B) 유선 통신 산업에서의 탄소 배출
C) 무선 통신 산업에서의 의한 탄소 배출
(3) 디지털 분야 탄소 배출 대응 사례
가. 단말 분야
A) 단말 분야에서의 탄소 배출 대응 노력
B) 제조 관련 온실가스 감축 사례
C) 신소재 개발과 부품 재활용을 통한 공정 가스 감축
D) 단말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노력
나. 데이터센터 분야
A) 데이터센터 운영 기업들의 대응 방안
B) 맞춤형 칩 사용
C) 재생 에너지 기반 데이터센터
D) 서버 냉각 장치 개선
다. 네트워크 분야
A) 통신 사업자들의 탄소중립 노력
B) 기존 통신 인프라 대체
C)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새로운 기술 개발
D) 모바일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에너지 효율화
(4) 결론 및 시사점
가. ICT 분야 탄소 배출 표준화
나. ICT 분야 탄소 배출 기준 수립
3) 주요국의 데이터센터 탄소중립 추진 동향
(1) RE100 개요 및 이행 방법
(2) 해외 주요 데이터센터 관련 업체들의 RE100 사례
(3) 해외 주요국의 데이터센터 탄소중립 추진 동향
가. 미국
나. 유럽
다. 일본
라. 싱가폴
마. 기타
4) 데이터센터내 고효율 IoT 필터 적용을 통한 탄소 저감에 대한 연구
(1) 서론
(2) 본론
가. 관련 연구
A) 데이터센터내 공조 현황
B) 프리필터 효율 비교
나. 연구 내용
다. 연구 결과
(3) 결론
2. 데이터센터의 지속가능성과 효율성 향상
1) 데이터센터 전력 효율 높이는 스마트 기술
(1)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 감소
(2) 에너지 효율 높이는 VSP ONE의 전력 절감 기술
(3) 전력과 상면 효율 면에서 경쟁력울 입증한 ‘ARM 서버’
2) ARM 서버가 데이터센터에 가져올 변화
(1) 데이터센터 전력 비용의 가파른 상승
(2) ARM 서버가 전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유
(3) ARM 서버, 데이터센터의 핵심 인프라로 부상
(4) ARM 서버 구축 사례
가. AI 추론 서비스
나. 에지 컴퓨팅
다. 씬 클라이언트
라. 클라우드 서비스
3)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데이터센터 인프라 전략 ‘VSP One’
(1) 가장 친환경적인 스토리지, 압도적인 성능으로 최고 등급 달성
(2) VSP ONE을 선호할 수밖에 없는 이유
가. CO₂ 영향 측정
나. 에너지스타 인증
다. 지속가능성 리더십
라. 탄소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
(3) 데이터센터 운영 효율을 높이는 VSP ONE 활용 사례
4) 데이터센터 현대화를 향한 원스톱 비결
(1) 미래 혁신을 설계하는 데이터 인프라 전략 ‘VSP ONE’
(2) AI 전환을 촉진하는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전략
(3) 생성형 AI 시대, 고성능 인프라의 중요성
5) 데이터센터의 효율적인 에너지 운영을 위한 딥러닝 기반 서버 관리방안
(1) 서론
(2) 관련 연구
가. 시계열 예측 모델 기반 네트워크 관리
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서버 제어
다. 에너지 절약을 위한 냉방 제어
(3) 접근 방법
가. 서버 상황에 따른 가변적 제어
나. 서버 여유 자원의 최소, 최대, 평균을 통한 모델 검증
A) 서버 여유 자원의 최솟값
B) 서버 여유 자원들의 최댓값, 평균값
다. 가변적인 보정치 범위
(4) 실험
가. 평가 지표
A) R2 Score
B) 상관 분석
나. 실험 설계
A) 데이터 수집
B) 데이터센터 간의 상관분석 결과
C) 모델 구성
다. 실험 결과
(5) 결론
6) 데이터센터용 하이브리드 UPS 기술 동향
(1) 배경
(2) 하이브리드 UPS 기술 동향
가. UPS의 종류
나. 오프라인 방식의 히이브리드 UPS
다. AI 데이터센터 피크제어용 하이브리드 솔루션
(3) 맺음말
제 4장 데이터센터 냉각효율화 및 모듈러/엣지 데이터센터 전망
1. 데이터센터 냉각기술 동향과 에너지 효율화
1) 국내외 기업별 데이터센터 열관리 동향
2) 차세대 데이터센터 서버냉각을 위한 액침냉각 솔루션 시장동향
(1) 서론
가. 액침냉각의 중요성
나. 액침냉각 시스템 구성
(2) 도입 현황
가. 글로벌 액침냉각 도입 현황
나. 국내 액침냉각 도입 현황
다. 액침냉각 관련 표준 및 인증
라. 글로벌 액침냉각 적용 현황
(3) 시장 전망
가. 해외 기업
나. 국내 기업
(4) 맺음말
3) 차세대 고집적 데이터센터를 위한 액침냉각 기술
(1) 액침냉각 기술의 등장 배경
가. 인공지능(AI)의 발전
나. 데이터센터 고집적화
(2) 액침냉각 시스템 기술적 특징
(3) 액침냉각 적용 사례
가. 해외 사례 1
나. 해외 사례 2
다. 국내 사례 1
라. 국내 사례 2
(4) 액침냉각의 장점 및 도입에 따른 애로사항
가. 액침냉각의 장점
A) 전력효율
B) 전력밀도
C) 공간활용
D) 소음
E) 비용
나. 상용화에 대한 애로사항
4) 데이터센터 수냉식 냉각시스템 설계 및 에너지효율 연구
(1) 서론
(2) 데이터센터의 냉각
가. IT장비의 전력밀도와 발열
나. 데이터센터 냉각 시스템의 변화
(3) 수냉식 냉각 시스템 설계기준
가. 데이터센터 IT운영환경 기준
나. 수냉식 냉각 시스템의 설계 대상
다. 냉매분배 시스템
A) 온도제어
B) 수질관리
(4) 수냉식 냉각 시스템 에너지효율
(5) 결론
5) 국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냉각시스템 수출육성
6) 리어도어 쿨링 유닛 및 다중 에이전트 강화학습을 통한 데이터센터 효율연구
(1) 연구 배경
(2) 관련 연구
(3) 하드웨어 실험 환경
가. 하드웨어 실험 환경
나. 장치 제어
(4) 소프트웨어 시뮬레이션 환경
(5) 강화학습
가. 강화학습 알고리즘
나. 보상함수 설정
(6) 결과 및 고찰
가. MAPPO 학습
(7) 결론
7) 데이터센터 냉방 에너지 및 PUE 분석 프로그램 개발 연구
(1) 연구 배경
(2) 기존 데이터센터 PUE 예측 프로그램 분석
가. PUE CALCULATOR
나. DC Pro
다. DCeFT
라. MESDTDC
(3) 데이터센터 냉방 에너지 및 PUE 분석 프로그램 개발
가. 프로그램 개발방향
나. 프로그램의 입출력 구성
다. 프로그램의 알고리즘
A) Step 1
B) Step 2
C) Step 3
D) Step 4
(4) 프로그램의 검증
가. 검증 시뮬레이션 대상건물 및 시스템 개요
나. 검증결과
(5) 결론
2. 소규모 엣지 데이터센터와 독립모듈 컨테인먼트 기술동향
1) 엣지 데이터센터(Edge Data Center)
(1) 공급
가. 공급 규모
나. 공급 주체
다. 공급 지역
라. 공급 현황
(2) 엣지 데이터센터
가. 정책 및 규제 현황
나. 엣지 데이터센터 수요
다. 엣지 데이터센터 개발 특징 및 전망
라. 시장 규모 및 전망
마. 경쟁 현황
2) 고밀도 데이터센터의 독립모듈 컨테인먼트(Containment) 기술
(1) 배경
가. 서론
나. 모듈형 데이터센터 개념 및 현황
다. 모듈형 데이터센터 사례와 사업화
(2) 개발 주요 내용
가. 개발 개요
나. 성능검증
(3) 맺음말
3. 화재 시뮬레이션을 통한 데이터센터 안전성 평가 연구
1) 서론
2) 데이터센터의 위험요소 및 요인 분석
(1) 데이터센터 주요 화재 위험 요소
(2) 피난안전성 확보를 위한 성능평가
가. 피난허용시간(ASET)
나. 피난소요시간(RSET)
3) FDS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환경 조건 선정
(1)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선정
(2) 시뮬레이션 모델링 환경 구성
4) 시뮬레이션 수행
(1)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수행
(2)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결과
(3)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결과 분석
5) 결론
제 5장 AI 데이터센터 확장을 위한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동향
1. 데이터센터 차세대 네트워크 동향
2. 6G 이동 통신 서비스 동향
1) 6세대 무선통신
2) 정책 및 규제 현황
3) 시장 동향
(1) 시장 규모 및 전망
(2) 경쟁 현황
3. 차세대 IMT 상용화 및 표준화 계획 국제 동향
1) IMT-2030 프레임워크 6G 비전 개발
2) 차세대 IMT 상용화 및 표준화 국제 동향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차세대 네트워크(6G) 선점을 위한 글로벌동향 분석
1) 6G 관련 주요기술 역량 분야(6G Capabilities)
2) 기업의 최신 연구개발 동향
(1) 노키아
(2) 소프트뱅크
(3) 후지쯔(Fujitsu), NEC, NTT and DoCoMo, 서브테라헤르츠 기기 개발
3) 6G 시대 변화에 대한 대비
(1) AI를 접목한 차세대 네트워크
가. 차세대 AI 네트워크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
A) 제로 터치 인지 네트워크(Zero-touch cognitive networks)
B) 연결된 자동화 산업(Connected automated industries)
나. 차세대 AI 네트워크 관련 세부 연구 과제
A) 자율 의사결정 시스템(Systems that can make decisions autonomously)
B) 분산 및 탈중앙화된 인공지능(Distributed and decentralized intelligence)
C) 신뢰할 수 있는 AI(Trustworthy AI)
D) 인간-기계 협력 영역(Human-machine collaboration)
다. 차세대 AI 네트워크 관련 주요 연구 동향
A) 에릭슨-T-Mobile-NVDIA : AI-RAN 혁신센터
B) 에릭슨-소프트뱅크 : AI 기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C) Nokia-T-Mobile : AI-RAN 네트워크 기술 협력
D) 노스이스턴 대학교(Northeastern University)
라. 차세대 AI 네트워크 관련 국제협력 동향 : AI-RAN Alliance
(2) 차세대 네트워크의 보안
가. 6G 보안 위협 요소 : 기술적 진보의 양면성
A) 사전 6G 보안 일반사항
B) 6G 아키텍처의 보안 위협
C) 6G 기술 보안 위협
나. AI를 활용한 보안 대응 방안: 기술과 정책의 통합
A) 사전보안 문제 해결
B) 아키텍처 보안 대응
C) 기술적 보안 강화
D) AI와 관련된 윤리 이슈 처리
4) 한국의 준비 상황
(1) 정부의 준비 상황
(2) 주요 기업들의 역할
(3) 주요 협회와 학계의 역할
(4) 종합적 평가
5. 무선 통신 자원 효율화에 관한 인공지능 기술 동향
1) 서론
2) 본론
(1) NOMA
(2)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3) Dynamic Spectrum Sharing
(4) RAN Coexistence
3) 결론
6. 6G 네트워크 AI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당면 과제와 해결 방안
1) 서론
2) 네트워크 AI의 수명 주기와 탄소배출원
3) 탄소 배출량 조절을 위한 작업 할당 최적화
4)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7. 6G 시뮬레이터 기반 6G 망설계에 관한 연구
1) 서론
2) 본론
(1) 6G 시뮬레이터 설계
(2) 6G 시뮬레이터 엔진
(3) 실시간·시각화 시뮬레이터
3) 결론
8. 5G-Advanced와 6G의 혁신적 미래
1) 5G-Advanced와 6G의 현재
(1) 5G-Advanced의 기술 진화 및 연구 동향
(2) 6G 이동통신의 기술적 비전 및 개발 현황
(3) 성능 비교 : 속도와 지연
가. 5G-Advanced의 데이터 처리 속도
나. 6G의 저지연 및 초고속 전송 목표
(4) 기술적 요구사항 : 네트워크 구조와 자동화
가. 5G-Advanced 네트워크 구조와 AI/ML 활용
나. 6G의 네트워크-컴퓨팅 융합 기술
(5) 응용 분야 : 다양한 산업에서의 가능성
가. 5G-Advanced 적용 사례 및 서비스
나. 6G 기술의 미래 응용 분야 예측
(6) 정책 및 협력: 기술 발전을 위한 사회적 환경
가. 국내외 5G-Advanced 및 6G 연구개발 정책
나. 최신 협력 모델 및 공동 연구 동향
2) 차세대 네트워크(5G+) 기방 과학기술 특화연구망 기술 동향과 전망
(1) 5G+ 기반 과학기술 특화연구망의 필요성
가. 과학기술연구망의 첨단융합서비스 기반 환경 구축
나. 과학기술계의 첨단무선망 구축 및 활용 수요 대응
다. 과학기술디지털융합 신서비스 발굴·제공 및 선도산업 창출
(2) 과학기술디지털융합 생태계를 위한 5G+ 기술개발의 해외 동향
가. (미국) 국가지원 프로젝트 및 기술개발
나. (유럽) 대형연구장비 및 범유럽연구망 중심의 기술연구개발
다. (일본) 국가연구소와 대학을 통한 첨단무선망 설계 및 구축 추진
라. 5G+ 기술개발의 해외동향 시사점
(3) 5G+ 과학기술 특화연구망 수요 기반의 기술개발 아이템
가. 과학기술연구망 활용·협력을 위한 첨단무선망 수요 분석
나. 과학기술연구망 기반의 수요 분석에 따른 5G+ 기술개발 아이템 도출
(4) 5G+ 과학기술 특화연구망의 개발 방향과 기대효과
가. 차세대 네트워크(6G) 핵심기술개발을 위한 선택과 집중
나. 과학기술계 및 산업계의 디지털 전환 촉진
다. 저비용·초고속·저지연 특화연구망을 통한 공공적 파급효과
3) 5G 특화망 서비스의 보안 요구사항 분석
(1) 서론
(2) 본론
(3) 결론
9.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장비 주요동향
1)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장비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 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A) 코어 네트워크 장비(Core Network Equipment)
B) 엑세스 네트워크 장비(Access Network Equipment)
C) 어그리게이션 네트워크 장비(Aggregation Network Equipment)
D) 보안 네트워크 장비(Security Network Equipment)
E) 로드 밸런싱 장비(Load Balancing Equipment)
F)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Storage Network Equipment)
G) 관리 및 모니터링 장비(Management and Monitoring Equipment)
H) 무선 네트워크 장비 (Wireless Network Equipment)
2) 시장 현황 및 전망
(1) 개황
가. 데이터센터의 대규모화 및 고속 네트워크 장비 수요 증가
나. SDN/NFV 기술의 도입 확산
다. AI 및 고성능 컴퓨팅(HPC) 워크로드 지원
라. 에너지 효율 및 지속 가능성 강조
마. 지역별 시장 성장과 기업 경쟁
(2)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3) 기술개발 동향
(1) 개황
가. 고속 네트워크 스위칭 및 라우팅 기술
나. 데이터센터 내 분산 네트워크 아키텍처
다. 지능형 네트워크 관리 및 분석 기술
라. 고효율 네트워크 전원 및 냉각 기술
(2) 주요 기술개발 동향
가. 해외 기업
나. 국내 기업
다. 국내 연구개발 기관
4) 특허동향 분석
(1) 연도별·국가별 출원 동향
(2) 기술수명주기 분석
(3) 기술영향력(CPP) 및 시장지배력(PFS) 분석
(4) 기술순환주기(TCT) 분석
(5) 주요 출원인 동향 분석
(6) 핵심 요소기술 선정
제 6장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 개발 현황과 안전관리 동향
1. AI반도체 기술개발 현황과 경쟁심화
1) AI반도체 기술개발 현황
(1) 초거대 AI 등장과 AI반도체
(2) 클라우드 기반의 AI 서비스
(3) AI반도체 개발 경쟁 심화와 의미
가. 글로벌 기업들의 AI반도체 개발 노력
나. 국내 기업들의 AI반도체 개발 노력
다. AI 가치사슬에 기반한 AI반도체 개발 노력의 의미
(4) GPU 주요동향
가. 시장의 개요
나. 정책 및 규제현황
다. 시장 동향
A) 시장 규모 및 전망
B) 경쟁 현황
2) 데이터센터 연산 반도체 동향
3) AI 반도체 핵심 분야별 기술 동향
(1) 프로세서 : AI GPU, NPU, 뉴로모픽 반도체
가. AI GPU
나. NPU
다. 뉴로모픽(Neuromorphic) 반도체
(2) 메모리 : HBM, PIM
가. HBM(High Bandwidth Memory)
나. PIM(Processing In Memory)
(3) 인터페이스 : CXL(Compute eXpress Link)
4) AI반도체 시장 현황 및 전망
(1) 시장 규모
(2) 경쟁 구도
(3) 주요 사업자
가. 반도체 기업
나. Big Tech
다. 스타트업
5) 국내 AI반도체 산업 현황
2. 반도체 강국으로 재도약을 위한 미래 이슈
1) 국내 반도체 기술수준과 미래 이슈 분석
(1) 배경
(2) 주요 현황
(3) 한국의 반도체 분야 기술수준
(4) 한국의 반도체 기술수준에 영향을 미칠 미래 이슈 분석
(5) 결론 및 시사점
2) 미국 AI 반도체 수출통제에 대한 국가별 대응
(1) 미국 AI 반도체 수출통제에 대한 기업의 대응
가. 미국 AI 반도체 기업의 대응
나. 중국 (AI 반도체 관련 기업)의 대응
(2) AI 반도체 수출통제와 국제협력
가. 네덜란드의 AI 반도체 수출통제 조율
나. 일본의 AI 반도체 수출통제 조율
3. 데이터센터 건축물 위험성 평가 및 안전관리 대응방안
1) 데이터센터 건축물의 화재 특성
(1) 데이터센터 화재 사례
가. SK C&C 데이터센터 화재
나. 과천 삼성 SDS 데이터센터 화재
다. OVH 사의 Strasbourg 데이터센터 화재
라. 기타 사례
(2) 데이터센터 공간·운영 화재위험 요소
가. 데이터센터 공간 화재 위험 요소
나. 데이터센터 운영 시 화재위험 요소
(3) 국내 데이터센터 소방시설 사례
가. 일반 사항
나. 국내 데이터센터 소방 시설 설계 사례
A) 상암 데이터센터
B) 캐피탈랜드 코리아(EQUINIX Seoul 2 Project)
C) 서초구 양재동 224 KCTC부지 공사
D) 가산데이터센터
E) 하남 IDC 데이터센터
2) 대용량 무정전전원장치 위험성 평가 동향분석
(1) 개요
가. 목적
나. 개념
다. 주요 이슈
(2) 산업‧기술 동향
가. 산업 동향
A) 국외
B) 국내
나. 기술 동향
A) 국외
B) 국내
(3) 특허 동향
가. LiB기반 1 MVA급 안전강화형 대용량, 고출력 UPS 표준모델 개발
A) 국내외 트렌드
B) 해외 동향
C) 국내 동향
나. LiB-UPS 시스템 단위 성능검증 기술 및 안전성 평가시스템 개발
A) 국내외 트렌드
B) 해외 동향
C) 국내 동향
다. LiB-UPS 사고유형별 모의 실증 기반 데이터 연계 운영 프로그램 개발
A) 국내외 트렌드
B) 해외 동향
C) 국내 동향
(4) 표준화 동향
가. LiB기반 1 MVA급 안전강화형 대용량, 고출력 UPS 표준모델 개발
나. LiB-UPS 시스템 단위 성능검증 기술 및 안전성 평가시스템 개발
다. LiB-UPS 사고유형별 모의 실증 기반 데이터 연계 운영 프로그램 개발
(5) 정부R&D 지원현황
가. 에너지 안전 분야 정부 R&D 지원 현황
나. 기술개발 현황
3) 재난대응/안전점검 강화방안
(1) 데이터센터, 재난대비 안전관리 강화
(2) 정보통신사고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
제 Ⅱ편 사이버 침해사고와 대응기술
제 1장 사이버 침해사고 현황과 사이버보안 기술·산업분석
1. 사이버 침해사고 피해현황
1) SKT 해킹 사고 사후대응의 문제점과 과제
(1) SK텔레콤 개인정보 유출 사건 발생
(2) SKT 해킹 방식
(3) SKT 침해사고 2차 조사결과
(4) SKT 해킹 피해 사태의 문제점과 입법과제
가. 기업의 개인정보 유출 사실 통지 의무
A) 문제 상황과 관련 법률
B) 입법 과제
나. 정부의 경보 조치
A) 문제 상황과 관련 법률
B) 입법 과제
다. 정부의 조사 권한
A) 문제 상황과 관련 법률
B) 입법 과제
라. 기업의 피해자 보호 조치
A) 문제 상황과 관련 법률
B) 입법 과제
(5) 웹방화벽을 우회하는 해킹 대응방안
(6) 해킹에 대응하는 자세
2) 침해사고 신고 현황과 사이버 위협 분석
(1) 침해사고 신고 현황
가. 침해사고 신고 통계
나. 유형별 침해사고 신고 통계
다. 업종별 침해사고 신고 통계
(2) 사이버 위협 분석
가. 취약한 계정관리와 피싱메일을 통한 무차별적인 가상자산탈취공격
나. 인터넷 접속 장애를 유발한 취약한 공유기 악성코드 감염 사고
다. 미상 해커그룹 니옌, 과시 목적의 취약한 국내 홈페이지 해킹 공격 지속
라. 중국 IT기업으로 위장한 정부지원 해킹조직의 실체
마. 금융대출사기 등으로 악용되는 알뜰폰 부정개통 사고
바. 주요 기업 내부에 침투를 위한 오픈소스 SW 공급망 해킹 위협
사. 스미싱, 투자 유도 사기 등 서민경제를 위협하는 스팸문자 급증
아. 랜섬웨어 공격은 기본, 피해 기업 자료를 공개하는 2차 피해 증가
2. 사이버보안 분야 대응기술·산업 동향
1) 사이버보안 주요 전략 및 주요동향
(1) 사이버보안
(2) 5대 주요 전략
가. 사이버공격 대응
나. 사이버 복원력
다. 개인정보보호
라. 제로트러스트
마. 인공지능 보안
(3) 5대 중점 분야
가. 공통보안
나. 디지털 취약점 분석·대응
다. 네트워크·클라우드 보안
라. 물리보안
마. 융합보안
(4) 시사점
2) 사이버보안 ‘데이터・AI 보안’ 주요동향
(1) 최신 현황
(2) 기술 동향
가. PET(프라이버시 강화 기술)
나. PQC(양자내성 암호・전환 기술)
다. AI Security(AI for Security, Security for AI)
(3) 산업 동향
가. PET(프라이버시 강화 기술)
나. PQC(양자내성 암호・전환 기술)
다. AI Security(AI for Security, Security for AI)
3) 사이버보안 시장 규모 및 전망 분석
(1) 세계 시장
가. 사이버보안 시장 규모 및 전망
나. 솔루션 유형별 사이버보안 시장 규모 및 전망
다. 보안 유형별 사이버보안 시장 규모 및 전망
라. 최종 사용자별 사이버보안 시장 규모 및 전망
마. 권역별 사이버보안 시장 규모 및 전망
(2) 국내 시장
가. 국내 정보보안 매출액 현황
나. 국내 정보보안 수출액 현황
다. 국내 사이버보안 시장 규모 및 전망
4) 사이버보안 주요 기업 동향
(1) 해외 업체
(2) 국내 업체
5) 주요국 피싱(Phishing) 대응 기술현황
(1) 피싱(Phishing)의 개념
(2) 국가별 기술적 대응 현황
가. 미국
나. EU
다. 영국
라. 독일
마. 일본
바. 중국
사. 한국
도표/그림 목차
▶자세히보기
https://www.techforum.co.kr/shop_goods/goods_view.htm?category=01020800&goods_idx=31141
AI시대 산업별 데이터센터 인프라 구축과 사이버침해 보안기술 분석
[ 보고서 소개 ]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부상하면서 데이터센터가 ‘디지털 인프라의 심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24년 기준 국내 데이터센터는 72개에 달하며 `29년까지
www.techforum.co.kr
테크포럼은 ‘beyond technology’ 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모토로
국내/외 최신 기술 및 신성장 산업의 핵심 이슈와 동향을 분석하여 관련 업계 구성원들에게 정보와 소통의 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술 산업분야의 세미나, 컨퍼런스, 포럼을 기획/주최/주관 및 자료집/리포트 등을 제공 하고 있습니다.
자료집/리포트 구매 시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문의: contact@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techforum.co.kr
'신간 리포트 > ICT | 4차산업 | 빅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시티 산업의 세부 분야별 기술동향과 서비스 사례분석 및 주요 국가별 사업추진 현황 (0) | 2025.07.09 |
---|---|
AIX(AI Transformation)기반 스마트 재난안전산업 기술, 시장 동향과 사업화 전략 (0) | 2025.07.01 |
2025 정보보호산업-정보보안·물리보안 시장동향과 유망 기술개발 및 기업 현황 (0) | 2025.06.09 |
디지털트윈 산업별 신기술 개발과 메타버스 기기/서비스 현황과 전망 (0) | 2025.06.09 |
트럼프 2.0 시대의 가상자산 Global Market Data : Current Status & Outlook (비트코인, 알트코인, 스테이블코인 中心) (0) | 2025.06.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