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포럼은 ‘beyond technology’ 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모토로
국내/외 최신 기술 및 신성장 산업의 핵심 이슈와 동향을 분석하여 관련 업계 구성원들에게 정보와 소통의 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술 산업분야의 세미나, 컨퍼런스, 포럼을 기획/주최/주관 및 자료집/리포트 등을 제공 하고 있습니다.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문의: contact@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techforum.co.kr
2025 미래형 자동차 기술개발 동향 및 시장전망 (Ⅰ, Ⅱ 세트)
제조사: 산업동향연구소
규격: Ⅰ권 608쪽 (A4, 서적, PDF), Ⅱ권 642쪽 (A4, 서적, PDF)
ISBN: Ⅰ권 (9791191512687), Ⅱ권 (9791191512694)
발간일: 2025-03-31
▶자세히보기
https://www.techforum.co.kr/shop_goods/goods_view.htm?category=01020L00&goods_idx=30601
2025 미래형 자동차 기술개발 동향 및 시장전망 (Ⅰ, Ⅱ 세트)
2025 미래형 자동차 기술개발 동향 및 시장전망 (Ⅰ) 제조사: 산업동향연구소 규격: 608쪽 (A4, 서적, PDF) ISBN: 9791191512687 발간일: 2025-03-31 [ 목차 ] Ⅰ. 2025 자동차 산업 최신 이슈 1. 국내외 자동차산업
www.techforum.co.kr
2025 미래형 자동차 기술개발 동향 및 시장전망 (Ⅰ)
제조사: 산업동향연구소
규격: 608쪽 (A4, 서적, PDF)
ISBN: 9791191512687
발간일: 2025-03-31
[ 목차 ]
Ⅰ. 2025 자동차 산업 최신 이슈
1. 국내외 자동차산업 현황 및 2025년 전망
1) 자동차산업 현황
2) 2025년 전망
(1) 글로벌 자동차산업 전망
(2) 국내 자동차산업 전망
3) 결론 및 시사점
2. 모빌리티 혁신에 따른 자동차산업 구조변화 및 대응방안
1) 모빌리티 혁신에 따른 자동차산업 구조변화
(1) 코로나19 이후 자동차산업 동향 변화
가. 자동차산업의 수요 정체
나. 전동차 판매 비중 확대
다. 중국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강화
라. 자율주행 상용화 서비스 실증 확대
(2) 자동차산업의 기술 구조변화
가. 자율주행 및 모빌리티 서비스화에 따른 기술 변화
나. 전동화에 따른 기술 변화
다. 생산 기술 변화
(3) 자동차산업의 거래 구조변화
가. 모빌리티 혁신에 따른 자동차산업의 거래 구조 변화
나. 국내외 조달 구조 변화
(4) 자동차산업의 경쟁 구조 변화
가. 가치사슬 구조 변화에 따른 경쟁 구조 변화
① 신생 및 타 산업 기업들의 진입 확대
② 중국 완성차 기업들의 위상 확대
나. 커넥티드화에 따른 산업 범위 확대
다. 자동차산업의 경쟁 구조 변화 방향
2) 자동차산업 구조변화 대응전략 방안
(1) 기업군별 대응 사례
가. 완성차업체
나. 자동차 부품업체
다. 전자부품업체
라. IT업체
마. 시사점
(2) 자동차산업 구조변화 대응전략
가. 신사업 부문 대응전략
나. 부품업체 대응 전략 방안
다. 완성차업체 대응 전략 방안
(3) 국내 자동차산업 구조변화 대응과제
3.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자동차 산업 정책 방향
1) 개요
2) 미국의 자동차 산업정책 방향과 영향
(1)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2)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3) 관세 정책
(4) 이민 정책
3) 결론 및 시사점
3-1. 미 대선에 따른 한국 자동차산업의 영향
1) 미 대선이 자동차산업 및 우리 경제에 중요한 이유
2) 미 대선에 따른 자동차산업 영향
3) 우리 자동차산업의 대응 방안
4. 미래차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SW 기술 개발 동향
1) 최근 동향
(1) SW 중심의 자동차 산업 대전환
(2) 세계 SDV 시장의 규모
2) SDV 기술개념
(1) SDV 개발의 중요성
3) 차세대 전기·전자 기술요약
(1) 차세대 전기·전자 아키텍처
(2) SDV 개발의 중요성
(3) 서비스에 따라 재구성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4)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SDV 전환
(5) 오프소스의 활용
(6)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SOAFEE
4) 결론 및 시사점
(1) SW를 중심으로 산업 생태계 다각화
(2) 기존 참여자의 역할 변화와 새로운 사업자의 등장으로 플레이어 다변화
5. 자율주행 Lv.4/4+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로교통 디지털 트윈 기술개발
1) 도로교통 디지털 트윈 기술개발 추진
2) 도로교통 디지털 트윈 기술개발 소개
3) ITS World Congress 2024 참여
4) 결론 및 시사점
6. 2030년 승용차 부문의 탈탄소화 및 수소 수요 전망
1) 승용차 부문의 탈탄소화 동향
2) 자동차 산업의 저탄소 금속 사용 확대
3) 승용차 부문의 저탄소 수소 수요 전망
7. 친환경차 보급정책 개선방향
1) 개요
2) 친환경차 보급동향
3) 친환경차 보급정책 및 재정지출 규모
4) 친환경 보급정책의 효과
5) 친환경차 보조금의 비용과 편익
6) 정책점 시사점
8. 주요국의 전기차 관련 정책 동향 및 시사점
1) 글로벌 전기차 산업현황
2) 주요국 전기차 관련 정책동향
3) 결론 및 시사점
9. 전기차와 배터리산업의 주요 이슈와 시사점
1) 개요
2) 전기차와 배터리 시장의 최근 동향
3) 세계 시장에서 중국의 위상과 경쟁 상황
4) 전기차와 배터리산업의 미래
5) 결론 및 시사점
10. 전기자동차 데이터 분석
1) 국내 전기자동차 등록현황
2) 전 세계 전기자동차 현황
3) 전기자동차 충전시설 현황
4) 전기자동차 화재현황
5) 내연기관 자동차 화재현황
Ⅱ. 2025 미래형자동차 산업동향 및 시장현황
1. 미래자동차용 고기능성 고분자소재 개발 현황
1) 개요
2) 통신 성능 향상을 위한 고기능성 고분자
3)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성능 향상을 위한 고기능성 고분자
4) 차량용 반도체 성능 향상을 위한 고기능성 고분자
5) 결론
2. 전기수소차와 이차전지
1) 전기차 초고속ㆍ고효율 무선충전기술 동향
(1) 무선충전기술의 개요
가. 기술개념 및 등장배경
나. 기술의 범위
다. 무선급속충전의 핵심기술
라. 무선충전 관련 국내외 표준화 및 안전성 기준 현황
(2) 시장동향
가. 무선충전 국내외 시장 동향
(3) 국내외 전기차 무선충전기술 개발동향
가. 해외동향
나. 국내동향
(4) 결론 및 시사점
2) 전기자동차(EV) X in 1 통합화 기술
(1) 전기차 시장현황
가. 전기차 시장의 지속적인 확대
나. 전기차의 주요 시장현황
다. 전기차 시장 경쟁 심화
(2) 전기차의 주요 핵심부품
가. 배터리
나. BMS
다. PDU
라. LDC
마. OBC
바. VCU
사. 인버터(Inverter)
아. 구동용 모터(Motor)
자. 감속기(Gearbox)
(3) X in 1 통합화 기술
가. 2 in 1(LDC + OBC)
나. 3 in 1(PDU + LDC + OBC)
다. 4 in 1(PDU + LDC + OBC + Inverter)
라. 5 in 1(Battery + BMS + PDU + LDC + OBC)
마. 3 in 1(Inverter + Motor + Gearbox)
바. 6 in 1(PDU + LDC + OBC + Inverter + Motor + Gearbox)
사. 8 in 1(BMS + VCU + PDU + LDC + OBC + Inverter + Motor + Gearbox)
(4) 결론 및 시사점
3) 이차전지 음극 고용량화 및 저가화 기술동향
(1) 이차전지 음극재의 종류와 개요
(2) 이차전지산업의 시장동향
(3) 이차전지 음극재 고용량화 기술동향
(4) 이차전지 음극재의 저가화 기술동향
(5) 결론 및 시사점
4) 전고체 전지 기술동향
(1) 전고체 전지의 개요
가. 기술의 개념
나. 기술의 필요성
(2) 관련 시장동향
가. 전기차
나.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다.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전고체 전지의 기술 및 정책동향
가. 전고체 전지의 기술이슈
나. 전고체 전지의 기술동향
다. 주요국별 정책동향
(4) 결론 및 시사점
3. 친환경 자동차용 인휠 모터
1) 시장의 개요
2) 정책 및 규제 현황
3) 시장 동향
(1) 시장규모 및 전망
(2) 경쟁 현황
4) 결론 및 시사점
4. 차량용 블랙박스
1) 개요
2) 정책 및 규제현황
3) 시장동향
(1) 시장규모 및 전망
(2) 경쟁현황
4) 결론 및 시사점
5. 차세대 태양전지
1) 개요
2) 정책 및 규제현황 (융합연구리뷰)
3) 시장동향
(1) 시장규모 및 전망
(2) 경쟁 현황
4) 결론 및 시사점
6. 리튬인산철 배터리
1) 개요
2) 제도 및 규제현황
3) 시장동향
(1) 시장규모 및 전망
(2) 경쟁 현황
4) 결론 및 시사점
7. 자동차 솔레노이드
1) 개요
2) 정책 및 제도현황
3) 시장동향
(1) 시장규모 및 전망
(2) 경쟁현황
4) 결론 및 시사점
8. 스마트 수송
1) 개요
2) 정책 및 규제현황
3) 시장동향
(1) 시장규모 및 전망
4) 결론 및 시사점
9. 전기차용 전고체 배터리
1) 개요
2) 정책 및 규제현황
3) 시장동향
(1) 시장규모 및 전망
(2) 경쟁현황
4) 결론 및 시사점
10. 자동차 필터
1) 개요
2) 정책 및 규제현황
3) 시장동향
(1) 시장규모 및 전망
(2) 경쟁현황
4) 결론 및 시사점
Ⅲ. 친환경차(전기차,수소차) 최신 이슈 및 소재·부품·시스템 관련 산업동향 및 기술전망
1. 전략분야 환경분석 친환경 자동차
1) 개요
(1) 개념
가. 정의
나. 필요성/시급성
(2) 구축 범위
가. 대표적 분류기준
나. 기술로드맵 전략분야 특징
2) 환경 분석
(1) 정책 동향
가. 주요국 정책 동향
① 미국
② 중국
③ EU
④ 일본
나. 국내 정책 동향
(2) 산업 여건 및 시장 현황
가. 산업특징 및 구조
나. 국내 산업생태계
다. 시장 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라. 주요 업체 동향
(3) 기술 및 표준화(규제) 동향
가. 기술개발 동향
나. 정부 R&D 투자동향
① 지원 현황 일반
② 중소기업 지원 현황
다. 표준화(규제) 동향
(4) 환경분석 종합
가. 관점별 환경분석 종합
나. 중소기업 대응전략
3) 품목 로드맵
(1) 전략품목 조정
가. 전략품목 조정 결과
나. 전략품목 정의서
① 열관리 시스템
② 전력변환 시스템
③ 배터리 시스템
④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⑤ 수소자동차 충전시스템
(2) 전략품목 로드맵 구축
2. 열관리 시스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종합
4) 기술개발 로드맵
(1) 핵심 요소기술 조정
가. 전력부품 및 배터리 열관리 기술
나. 통합 열관리 제어기술
다. 히트펌프 열관리 기술
라. 전력변환 장치 열관리 기술
마. 연료전지 열관리 기술
바. 고효율 모터·트랜스미션 냉각기술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3. 전력변환 시스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종합
4) 기술개발 로드맵
(1) 핵심 요소기술 조정
가. 전력변환 모듈 기술
나. 양방향 OBC 기술
다. 고출력 인버터 기술
라. 고효율 HDC 기술
마. 고효율 LDC 기술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4. 배터리 시스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종합
4) 기술개발 로드맵
(1) 핵심 요소기술 조정
가. 배터리 열관리 기술
나. 공용 BMS 플랫폼 기술
다. 폐배터리 분류장치 및 공정기술
라. BMS 고도화 기술
마. 배터리 패키징 요소기술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5.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종합
4) 기술개발 로드맵
(1) 핵심 요소기술 조정
가. 초고속 충전(HPC) 기술
나. 전기차 P&C (plug & charge) 기술
다. 충전 인프라 관제 기술
라. 충전기 부품 내구성 향상 기술
마. 전기차 충전소 안전성 향상 기술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6. 수소자동차 충전시스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종합
4) 기술개발 로드맵
(1) 핵심 요소기술 조정
가. 고효율 압축 시스템 구축 기술
나. 고압 수소 충전 시스템 안전성 향상 기술
다. 수소 충전시스템 온도 제어기술
라. 수소 충전 제어관리 기술
마. 수소 저장장치·설비 안정성 향상 기술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7. 유기 태양전지
1) 개요
(1) 배경
(2) 기술의 정의 및 범위
2) 기술동향
(1) 유기 태양전지 2P 분석
가. 특허 동향
나. 논문 동향
(2) 해외 기술동향
가. 중국
나. 미국
다. 독일
(3) 국내 기술동향
3) 산업동향
(1) 산업동향
(2) 사업화 동향
4) 정책동향
(1) 글로벌 정책동향
가. 미국
나. 유럽
다. 중국
라. 독일
마. 영국
바. 프랑스
사. 일본
(2) 국내 정책동향
5) R&D 투자 동향
6)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2) 시사점
8. 반고체 배터리와 전기차 성장세 회복
1) 안전성 개선한 전해질로 상용화 시도
2) 반고체 배터리, 전기차 Pain Point 해소 기대
3) 상용화에 접어든 중국 반고체 배터리
4) 혁신 배터리 기술의 상용화 가속 필요
2025 미래형 자동차 기술개발 동향 및 시장전망 (Ⅱ)
제조사: 산업동향연구소
규격: 642쪽 (A4, 서적, PDF)
ISBN: 9791191512694
발간일: 2025-03-31
[ 목차 ]
Ⅰ. 자율주행차 최신 이슈 및 소재·부품·시스템 관련 산업동향 및 기술전망
1. 자율주행차
1) 개요
(1) 개념
가. 정의
나. 필요성/시급성
(2) 구축 범위
가. 대표적 분류
나. 기술로드맵 전략분야 특정
2) 환경 분석
(1) 정책동향
가. 주요국 정책동향
① 미국
② 중국
③ EU
④ 일본
나. 국내 정책동향
(2) 산업여건 및 시장현황
가. 산업특징 및 구조
나. 국내 산업생태계
다. 시장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라. 주요 업체동향
(3) 기술 및 표준화(규제) 동향
가. 기술개발 동향
나. 정부 R&D 투자동향
① 지원 현황 일반
② 중소기업 지원 현황
다. 표준화(규제) 동향
(4) 환경분석 종합
가. 관점별 환경분석 종합
나. 중소기업 대응전략
3) 품목 로드맵
(1) 품목 후보군 도출 및 선정
가. 품목 후보군 도출
나. 전략품목 선정
다. 전략품목 정의서
① 자율주행 알고리즘
② 차세대 자율주행 인지 센서
③ 자율 협력 주행 솔루션
④ 자율주행 데이터처리 솔루션
⑤ 자율주행 개발장비
⑥ 자율주행 보안·안전 시스템
⑦ 자율주행차 연계서비스
(2) 전략품목 로드맵 구축
2. 자율주행 알고리즘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분석
(4) 분석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 요소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 요소기술 선정
다. 핵심 요소기술 정의서
① 자율주행 인지 기술
② 자율주행 판단 기술
③ 자율주행 컴퓨팅 기술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3. 차세대 자율주행 인지센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분석
(4) 분석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 요소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 요소기술 선정
다. 핵심 요소기술 정의서
① 4D 이미징 레이더 기술
② 차세대 Solid-state 3D 라이다 기술
③ 주변 상황대응 카메라 기술
④ 3D 열영상 카메라 기술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4. 자율 협력주행 솔루션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 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분석
(4) 분석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 요소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 요소기술 선정
다. 핵심 요소기술 정의서
① 인프라 기반 검지기술
② 인프라 기반 가이던스 기술
③ 실내(터널포함) 내 측위정밀도 개선 기술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5. 자율주행 데이터 처리 솔루션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 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분석
(4) 분석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 요소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 요소기술 선정
다. 핵심 요소기술 정의서
① 실시간 자율주행데이터의 최적화 및 경량화
② 응답시간 개선을 위한 엣지 컴퓨팅 기술
③ 데이터 통합 및 표준화를 통한 데이터 관리 기술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6. 자율주행 개발장비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 요소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 요소기술 선정
다. 핵심 요소기술 정의서
① HW/SW 개발장비
② 기능 평가장비
③ 시뮬레이션 장비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7. 자율주행 보안·안전 시스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 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분석
(4) 분석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 요소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 요소기술 선정
다. 핵심 요소기술 정의서
① Fail Operation 기술
② 고위험 사고인지, 위험 상황 예측 기술
③ 자율차 부품의 고장 예지 기술
④ 자율차 보안 취약점 위협 분석 기술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8. 자율주행차 연계서비스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 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분석
(4) 분석방법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 요소기술 선정
다. 핵심 요소기술 정의서
① 자율주행 서비스 기술
② 자율주행 운영 서비스 기술
③ 자율주행 간접 서비스 기술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9.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1) 개요
2) SDV 전환에서 소프트웨어의 역할
(1) SDV(Software-Defined Vehicle)의 정의
(2) SDV의 주요 특성
(3) SDV의 발전 단계
(4) SDV에서 소프트웨어의 역할
(5) SDV 전환과 소프트웨어 관점에서 해결과제
3) 국내/외 기업의 SDV 전략과 동향
(1) 글로벌 기업의 SDV 생태계 전략
가. 전통적인 자동차 기업의 SDV 생태계 전략
나. 신규 ICT기업의 SDV 생태계 전략
(2) 국내 기업의 SDV 생태계 전략
가. 현대자동차의 SDV 생태계 전략과 내부 조직/계열사의 역할
4) 국내 SDV 생태계 현황
(1) 국내 SDV 생태계 현황
가. 국내 SDV 생태계 분류
나. 국내 자동차 소프트웨어 기업 현황
(2) 국내 미래형자동차 소프트웨어 인력 현황
가. SDV에서 요구되는 소프트웨어 인력의 특성
나. 국내 자동차 소프트웨어 인력 현황
(3) 국내 SDV 생태계의 강·약점
5) 결론 및 시사점
(1) 자동차 기업과 소프트웨어 기업의 협력체계 구축
(2) 폐쇄적 생태계에서 개방형 생태계로 전환
(3) SDV 산업의 소프트웨어 인력 양성 방안
Ⅱ. 미래형자동차 정부정책 및 핵심전략
1. 친환경차 · 이차전지 경쟁력 강화방안
1) 추진 배경
2) 친환경차‧이차전지 산업 현황
(1) 친환경차
(2) 이차전지
3) 추진 방향
(1) 친환경차 캐즘 대응강화
가. 전기차
① 전기차 보급 확대(‘25년 1.5조원)
② 충전인프라 확충
③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24.9월 발표)의 속도감 있는 이행
나. 수소모빌리티
① 수소버스ᆞ충전소 안전성 강화
② 차고지‧교통거점 중심으로 수소충전소 확충
③ 광역ᆞ전세버스 중심으로 수소버스 시장수요 확대
다. 첨단 기술력 강화
① 초격차 기술 확보
② 시장경쟁력 제고
라. 이차전지 생태계 강화
① 배터리 투자 촉진을 위한 지원 확대
② 핵심 소부장 공급망 다변화 강화
③ EU 배터리법 등 해외규제 대응 기반 마련
마. 대외 불확실성 대응
① 민‧관 합동 아웃리치 강화
② 수출시장 다변화 및 부품기업 수출 촉진
③ 국내‧외 투자가 계획대로 이행되도록 투자‧규제 애로해소 지원
4) 향후 추진계획
Ⅲ. 국가별 미래형자동차 산업동향 및 시장현황
[1] 미국
1. 트럼프 2기 정부의 전기차 정책 변화에 따른 업계 영향 전망
1) 개요
2) 주요 내용
3) 현지반응
2. 트럼프 2기 전기차 및 배터리 분야의 대중국 정책 변화 가능성 및 시사점
1) 개요
2) 미국의 대중국 정책변화 가능성
(1) 대중국 관세 인상
(2) IRA 정책 변화(중국 관련)
3) 결론 및 시사점
[2] 중국
1. 중국 정부의 전기차 산업 지원과 주요국 대응
1) 개요
2) 중국 정부의 전기차 산업 지원 현황
3) 주요국의 대응조치
4) 결론 및 시사점
2. 중국 전기차 및 배터리 산업의 혁신현황
1) 개요
2) 중국 전기차·배터리 산업 및 혁신 현황
(1) 중국 전기차 산업 현황
(2) 중국 전기차·배터리 산업의 혁신 현황
가. 제품혁신
나. 공정 혁신
다. 시장·고객 경험 혁신
(3) 중국 전기차 부문의 혁신 요소
(4) 중국 정부의 지원 정책
3) 결론 및 시사점
3. 중국 전기차 혁신전략 및 시사점
1) 중국 전기차 산업동향
(1) 중국 전기차 산업개요
(2) 중국의 전기차 산업육성 정책
(3) 중국의 전기차 산업동향
가. 중국의 전기차 내수판매 동향
나. 중국의 전기차 수출동향
2) 중국 전기차 산업의 성장 배경과 기업 성공 전략
(1) 중국 전기차 산업의 성장배경
가. 정부 구매 보조금
나. 충전 인프라
다. 안정적 배터리 생산• 공급망 시스템
(2) 중국 전기차 기업의 성공전략
가. 생산공정 혁신 및 밸류체인 수직 통합을 통한 높은 원가경쟁력 확보
나. 적극적인 해외시장 공략
다. 과감한 R&D 투자를 통한 기술 경쟁력 강화
라. 스타트업 IT기업•완성차업체 간 합종연칠(合從連衡)
3) 결론 및 시사점
4. 화웨이와 샤오미의 전기차 도전
1) 화웨이, 완성차 기업과 지능화 솔루션 협력
2) 샤오미, 밸류체인 협업 전략으로 전기차 혁신에 도전
3) 중국 빅테크 전기차가 가지는 장점
4) 해결 필요 과제
5) 화웨이와 샤오미가 만들 지각 변동
[3] 유럽
1. EU의 2025년 전기차 시장 전망과 지원제도
1) EU 전기차 시장현황
2) 2025년 EU 전기차 시장 전망
3) EU의 전기차 지원제도
(1) 세제 혜택
가. 구매 시 세제 혜택
나. 보유 시 세제 혜택
(2) 보조금 정책
(3) 충전 인프라 지원
4) EU 국가별 전기차 지원제도 종합
2.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현황 (ACEA)
1)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현황(ACEA)
(1) 개요
(2) 현황
(3) 전망 및 시사점
3. 최근 EU의 중국산 전기차 대상 상계관세 부과 관련 동향
1) 개요
2) 향후 절차
3) 중국 반응
4) 역내 반응
5) 업계반응
4. EU 집행위원회,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상계관세 부과 결정
1) EU 집행위원회,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상계관세 부과 결정
(1) 주요 내용
(2) 절차 및 향후 일정
(3) 중국산 전기차 보조금 조사의 배경
[4] 일본
1. 일본 자동차 산업의 모빌리티 DX 전략
1) 개요
2) 모빌리티 DX 경쟁의 기본 전략
(1) 전략 목표
(2) 영역별 대응방향
3) 분야별 세부 시책과 ’35년 로드맵
(1) SDV 분야 세부 시책
(2) 모빌리티 서비스 분야 세부 시책
(3) 데이터 활용 분야 세부 시책
(4) 공통 분야 세부 시책
(5) 「모빌리티 DX 전략」 로드맵
4) 결론 및 시사점
2. 일본 모빌리티 업계 EV 공급망 재편전략
1) EV 시장동향
(1) 세계 EV 시장동향
가. EV 시장
나. 축전지 시장
다. 반도체 시장
(2) 일본 EV 시장동향
가. 일본 전동차 시장
나. 축전지 시장
다. 반도체 시장
2) 일본 정부의 EV 공급망 정책
(1) 일본 국내 EV 산업정책
가. 일본 전동차 생산 목표
나. 중요물자 공급망 강화책
다. 생산력 향상 지원책
(2) 해외 EV 공급망 네트워크 구축
가. 북미
나. 중남미
다. 유럽
라. 아프리카
마. 동남아대양주
바. 서남아
사. 중동
3) 일본 모빌리티 업계의 EV 공급망 개편
(1) 도요타
가. EV 목표
나. 판매 동향
다. 대응 전략
라. 일본 국내 시장 공급망
마. 해외 시장 공급망
(2) 혼다
가. EV 목표
나. 판매 동향
다. 대응 전략
라. 일본 국내 시장 공급망
마. 해외 시장 공급망
(3) 닛산
가. EV 목표
나. 판매 동향
다. 대응 전략
라. 일본 국내 시장 공급망
마. 해외 시장 공급망
4) 일본 EV 시장 전망 및 진출 전략
(1) SWOT 분석
(2) 일본 현지 관계자가 본 시장 전망
가. 전망1: 현재 EV 성장과 별개로 기존 사업 또한 지속될 것
나. 전망2: 미래에는 EV 관련 사업이 확대될 것
(3) 우리기업의 진출전략
5) 기업별 거점 정보
가. 도요타
나. 혼다
다. 닛산
[5] 캐나다 전기차(EV) 배터리 공급망 동향 및 시사점
1) 캐나다 전기차(EV) 산업
(1) 전기차 시장현황 및 전망
가. 전기차 시장 현황
나. 전기차 시장전망
(2) 전기차 산업 지원정책
가. [전기차 제조 지원] ‘메이드인 캐나다 전락’
나. [전기차 보급 지원] ‘친환경차 판매 목표제’
다. (배터리 공급망 지원) ‘국가 핵심 광물 전략’
2) 캐나다 전기차 배터리 산업
(1) 비전 및 추진전략
가. 비전
나. 추진전략
① (업스트림) 세계 최고 환경친화적 배터리 생태계 조성
② (미드스트림) 배터리 핵심소재ᆞ셀 생산의 북미 허브 도약
③ (다운스트림) EV 공급망 지원 인프라 확충
(2) 캐나다 전기차 배터리 산업 강점
가. 풍부한 광물자원
나. 완성된 자동차 제조 생태계 보유
다. 청정 전력 공급 인프라 확보
라. 글로벌 전기차 시장진출을 위한 지리적 이점
마. 강력한 정부 지원
3) 캐나다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분석
(1)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로드맵
가. 공급망 현황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 1위’
나. 2030 배터리 공급망 강화 로드맵
(2)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분석
가. 공급망 개요
나. 공급망 구조(4대 핵심 광물 중심)
① 리튬
② 니켈
③ 코발트
④ 흑연
(3) 주요 프로젝트 현황
가. 양극재 생산
나. 음극재 생산
다. 배터리 제조
(4) 배터리 공급망 관련규제
가. 2030 탄소 배출 감축 계획
나. 탄소 가격제
다. 캐나다 연료 규제(Canada Fuel Regulation, CFR)
라. 친환경차 판매 규정
4) 우리기업 진출 시사점
(1) [加] 미드스트림 투자 집중 ⇨ [韓] 배터리 공급망 강화 기회
(2) [加] 서부 유전염수 개발 ⇨ [韓] 리튬 공급망 리스크 완화 기여
(3) [加] 전기화 전력망 투자 확대 ⇨ [韓] 전력 기자재 진출 돌파구
(4) [韓] 강력한 수직적 협력 구조 “대중소 동반성장 기회 다대”
▶자세히보기
https://www.techforum.co.kr/shop_goods/goods_view.htm?category=01020L00&goods_idx=30601
2025 미래형 자동차 기술개발 동향 및 시장전망 (Ⅰ, Ⅱ 세트)
2025 미래형 자동차 기술개발 동향 및 시장전망 (Ⅰ) 제조사: 산업동향연구소 규격: 608쪽 (A4, 서적, PDF) ISBN: 9791191512687 발간일: 2025-03-31 [ 목차 ] Ⅰ. 2025 자동차 산업 최신 이슈 1. 국내외 자동차산업
www.techforum.co.kr
테크포럼은 ‘beyond technology’ 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모토로
국내/외 최신 기술 및 신성장 산업의 핵심 이슈와 동향을 분석하여 관련 업계 구성원들에게 정보와 소통의 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술 산업분야의 세미나, 컨퍼런스, 포럼을 기획/주최/주관 및 자료집/리포트 등을 제공 하고 있습니다.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문의: contact@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techforum.co.kr
'신간 리포트 > 모빌리티 | 우주항공 | 로봇 |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2.0 시대의 성장산업 ’K-조선’, 2025 조선·해양플랜트 시장 전망과 미래형 선박 기술개발, 사업화 전략 (0) | 2025.03.12 |
---|---|
[보고서] 자동차의 미래 및 우주 시대의 기술 (0) | 2025.03.04 |
2025년 국내외 미래자동차 관련 유망 기술, 시장 동향과 사업화 전략 (0) | 2025.02.19 |
2025년 국내외 수소자동차(FCEV) 및 수소차 생태계 산업 동향과 주요 기업 사업 전략 (0) | 2025.02.14 |
[보고서] 2025 로봇·드론·인공지능(AI) 산업동향 및 시장실태와 전망 (Ⅰ, Ⅱ 세트) (0) | 2025.02.12 |
댓글